한가위 차례상 정성을 올린다
홍동백서 등 기본 원칙 한글식 지방도 써 봄직
- 내용
- 명절하면 뭐니뭐니해도 떠오르는 게 차례. 그러나 차례상 차리기가 지나치게 격식에 치우치다보면 젊은 주부들에게 스트레스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인터넷 쇼핑몰에는 주문형 제삿상도 널린 요즘이다. 그러나 제사는 흩어져 살고 있는 자손들이 한데 모여 음식을 장만하고 조상에게 예를 올리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풍습으로 핵가족시대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 의미가 커진다. 제사법은 가가례(家家禮)라고 해서 집안과 지방마다 다르나 지켜야하는 최소한의 원칙은 있다. □제사음식의 특징=제수를 장만할 때 실하고 보기좋은 재료를 준비하는 것은 기본상식. 어감이 치사한 느낌을 주는 칼치 꽁치 삼치 등 치자로 끝나는 생선과 귀신을 쫓는다는 복숭아는 쓰지 않는다. 또 고춧가루와 마늘 등 자극성이 강한 양념 역시 같은 이유로 피한다. 음식은 가급적 잔칼을 넣지 않고 큼직큼직한 모양으로 올리며, 식혜 탕 면 등은 국물없이 건더기만 건져서 놓는다. □젯상차리는 법=제관을 중심으로 오른쪽과 왼쪽을 구분하며, 지방이나 신주를 모신 곳을 북쪽으로 가정하여 제관의 오른쪽이 동쪽, 왼쪽을 서쪽으로 하여 상을 차린다. 제삿상은 보통 다섯줄로 차린다 〈그림 참고〉. 맨 앞줄에는 과일과 약과 유과류를 놓는다. 과일은 햇과일이나 제철과일을 쓰며 대추 밤 감 배 사과 순으로 차린다. 홍동백서(紅東白西)라고하여 붉은색은 동쪽(오른쪽)에 흰색은 서쪽에 놓는다. 그 다음은 반찬을 놓는줄로 좌포우혜(左脯右醯)에 맞게 왼쪽에는 포를, 오른쪽엔 식혜 간장 등을 놓는다. 셋째줄에는 3탕으로 불리는 육탕(고기류) 어탕(어패류) 소탕(채소류)을 놓는다. 네번째줄에는 왼쪽에 전(생선과 두부 부침개류)을, 오른쪽에는 적(양념 고기)을 놓는다. 고기나 생선은 머리가 동쪽을 향하도록 하고 고기는 서쪽(왼쪽), 생선은 오른쪽에 놓는다. 이른바 두동미서(頭東尾西), 어동육서(魚東肉西)가 그 것. 다섯번째줄은 촛대 수저그릇 밥 잔 국을 놓는다. 방향은 왼쪽에 밥 술잔, 가운데에 수저그릇, 오른쪽에 국 송편 등을 올린다. 이는 산사람이 상을 받을 때와 반대의 위치이다. □한글식 지방쓰기=사진이나 초상화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경향이 늘어나는 추세지만나 아직 지방을 쓰는 집이라면 ‘유세차~'로 시작되는 한자식 지방을 한글 세대 후손이 이해하기 쉽도록 바꿔보면 어떨까. 다음은 제사관련 인터넷사이트를 운영하는 최병화씨가 제시하는 두 가지 예. “아버지(할아버지)신위 전에 고합니다. 추석이 돌아오니 추모의 정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오니 강림하시어 흠향하소서". “아내 000은 당신의 신위 앞에 고합니다. 명절이 되니 옛 생각을 금할길 없습니다. 간소한 제수를 드리니 흠향하소서".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02-09-19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029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