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801호 문화관광

한 권으로 읽는 변박의 빛나는 삶과 예술혼

■ 부산의 책-강남주 장편소설 ‘유마도’

내용

한국과 일본의 평화 문화 공존의 상징인 ‘조선통신사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조선통신사의 세계 문화사적 가치를 인정받은 낭보의 열기가 채 가시기도 전에 조선통신사 사행길에 참여했던 옛 부산의 화가 변박의 일생을 담은 한 권의 소설이 세상에 나왔다. 부산의 원로 강남주 시인의 첫 장편소설 ‘유마도’<사진>다.
 

이 작품은 잘 알려지지 않은 변방의 화가 ‘변박’이라는 인물에 주목해 그가 조선통신사 사행선의 기선장이 되어 일본 대마도로 향하는 여정을 담고 있다. 
 

강남주 작가는 1974년 시집 ‘해저(海底)의 숲’이 ‘시문학’에 추천돼 등단한 후 시인, 수필가, 문학평론가로 활동했다. 75세에 계간문예지 ‘문예연구’ 제61회 신인문학작품 공모전 소설 부문에 단편소설 ‘풍장의 꿈’이 당선돼 늦깎이 소설가로 등단했다. 이후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알게 된 조선통신사의 이야기와 화가 변박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소설로 집필 했다. 노작가는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변방의 화가와 조선통신사의 사행길을 엄청난 집념으로 쫓는다. 
 

소설 ‘유마도’는 일본 시코쿠 섬에 있는 외딴 절에서 200여 년 전 조선 화가의 작품이 발견된다. 그것도 조선에서는 이름도 없는 변방 동래의 화가의 작품인 ‘유마도’다. 
 

변박은 ‘부산진순절도’와 ‘동래부순절도’를 남긴 화가다. 두 그림은 보물 391호와 392호로 지정될 만큼 유명한 그림이다. 소설은 작가가 논문에서 만나게 된 화가 변박을 조사하며 알게 된 그림 ‘유마도’의 실체를 쫓아간다. 작가가 ‘유마도’를 찾아 일본의 호넨지로 찾아가게 된 이야기를 소설의 뒤에 실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빛나는 예술의 숨결을 생생하게 전한다. 산지니 펴냄. 

 

부산의 책-강남주 장편소설 ‘유마도’ 

작성자
김영주
작성일자
2017-11-08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801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