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262호 문화관광

`남지기로회도' 시 문화재 지정 추진

`복천사 독성도 및 복장유물 일괄' 등 유형 3점·자료 2점

내용
제목 없음

`남지기로회도' 시 문화재 지정 추진

 

`복천사 독성도 및 복장유물 일괄' 등 유형 3점·자료 2점

 

 

 부산광역시는 `남지기로회도(南池耆老繪圖·동아대 박물관 소장)'를 비롯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금정중학교 소장)' `복천사 독성도 및 복장유물 일괄(영도구 복천사 소장)' 등 문화재 3점은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재로, `복천사 산신도(山神圖)' `복천사 현왕도 및 복장유물 일괄' 등 2점은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각각 문화재 등록을 추진한다. 

 조선 인조 시대에 제작된 `남지기로회도'는 70세 이상 고령 관리들의 사적인 계모임을 그렸다. 그림 위쪽에 회화식 전서체로 제목을 적었고, 왼쪽과 오른쪽에 이경직이 쓴 서문이 있어 이경직필 남지기로회도라고도 한다. 아래쪽에 서문과 계원들의 관직, 성명, 자, 호, 생년월일, 자제들의 관직, 성명 등을 자세하게 적어놓았다.

사진설명: `남지기로회도'.

 

 남지기로회도는 서울대 박물관 소장 보물 제866호 이기룡필 남지기로회도와 비교되는데, 서울대박물관 소장본이 도식적으로 패턴화 되어있는 반면 이경직필 회도는 개성적인 인물 묘사와 자연스런 풍경 묘사 등 뛰어난 화풍을 보여준다.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은 인도 승려 불타파리가 676년 번역한 책. 고려시대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판본과 사경이 만들어졌다. 금정중학교 소장본은 1562년에 간행된 후 뒤에 후쇄된 임진왜란 이전 간본이다.

 복천사 독성도 및 복장유물 일괄은 화격은 뛰어나지 않지만, 조성 기문을 통해 제작연대가 뚜렷하고 복장유물이 일괄 남아있어 불화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높은 문화재로 평가된다.

 시 문화예술과는 내달 초 유물 5점에 대한 문화재 지정예고 후, 올해 안에 일괄적으로 문화재 등록을 추진하기로 했다.

※문의:문화예술과(888-3484)

 

 

작성자
부산이야기
작성일자
2007-03-28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262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