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6일부터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하세요!
10월 29일까지 … 요일제 신청
12월 31일까지 사용 해야 … 신청 안 하면 국가·지자체 환수
2002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성인 대상
- 관련검색어
- 부산시,
-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 9월 6일
- 내용
- ■ 전 국민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전 국민의 약 88%가 1인당 25만 원씩 받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재난지원금)’ 지급이 오는 9월 6일 시행에 들어간다.- 국민지원금은 기본적으로 가구소득 하위 80% 이하인 가구의 구성원이 대상이나,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 등 특례 기준 적용으로 보다 폭넓게 지급해 전 국민의 약 88%가 받게 된다. - 소득수준은 올해 6월 부과된 본인 부담 건강보험료의 가구별 합산액을 기준으로 하며, 1인 가구는 17만 원 이하면 지급 받을 수 있다. 4인 가구는 직장 가입자 기준 외벌이는 31만 원, 맞벌이는 39만 원 이하면 신청할 수 있다. - 지급 신청은 온라인의 경우 오는 9월 6일부터 오프라인의 경우 9월 13일부터 신청할 수 있으며 10월 29일에 마감한다. 지원금은 신청 다음 날 지급되며 12월 31일 약 4개월간 쓸 수 있다. 미신청 혹은 잔액은 국가와 지자체로 환수된다. - ■ 부산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속 집행 
 부산시는 신속한 국민지원금 지급으로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의 생계안정과 소비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를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부산지역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은 총 280만여 명으로 지급 규모는 총 7천262억 원에 달한다. -  - 2002년 12월 31일 이전에 출생한 성인은 개인별로 국민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다. 미성년자의 경우 동일 주소지 세대주 명의로 신청이 가능하다. - 부산시는 고령, 장애인 등 1인 가구 중 거동이 불편한 분들을 위해 직접 방문해 국민지원금 신청을 돕는다. 신청 방법은 거주지 주민센터로 신청하면 된다. 신청자가 몰릴 경우를 대비해 대상자 조회와 지급수단별 신청은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요일제로 이뤄진다. (예시: 월 1·6, 화 2·7, 수 3·8, 목 4·9 금 5·0, 토·일 모두) - 지급 여부는 국민비서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네이버앱, 카카오톡, 토스 등)에서 국민비서 알림서비스를 신청하면 9월 5일부터 안내될 예정이다. - 9월 6일부터는 직접 온라인(카드사 앱·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등)이나 주민센터 또는 카드사 연계 은행 창구를 직접 방문하면 조회 가능하다. - ■ 부산시민 신용·체크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선택 신청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자는 신용·체크카드, 동백전, 선불카드 중에서 원하는 수단을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 신용·체크카드 충전은 9월 6일부터 온라인(홈페이지·앱·콜센터·ARS)으로 신청 가능하다. 13일부터는 해당 은행 방문 신청도 가능하다. 신청 후 다음날 충전이 완료된다. - 동백전 신청은 또한 9월 6일부터 가능하며, 동백전 신청 전용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가능하다. 별도 캐시백은 지급되지 않는다. 동백전은 신청 후 3일 이내 지급형 포인트(정책수당)로 지급된다. - 선불카드는 9월 13일부터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오프라인으로 신청 할 수 있다. 개인 신청이 원칙이나 대리 신청도 가능하다. 대리 신청은 위임장과 신분증(대리인, 위임자)을 지참해야 한다. - 부산시는 신청 즉시 현장에서 선불카드를 지급할 계획이다. 다만, 카드 수급 일정에 따라 부득이하게 즉시 수령이 불가능한 경우 별도로 수령일을 지정해 안내할 예정이다. - ■ 부산지역 이외에는 사용 안 돼 
 코로나 상생 지원금은 사용지역과 사용업종, 사용기한에 제한을 받는다. 부산 사람이 서울에서 국민지원금을 쓸 수는 없다.- 국민지원금 사용처는 동백전 사용처와 동일하다. 전통시장, 동네 슈퍼마켓, 식당, 미용실, 약국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슈퍼마켓, 일부프랜차이즈 직영점, 온라인 쇼핑몰 등에는 사용이 제한된다. 또한, 사행산업 중소기업이 아닌 기업과 부산시 조례로 제외한 업종은 사용 제한된다. - 구체적인 사용처는 국민지원금 사용처 홈페이지(국민지원금사용처.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자료출처:행정안전부- ※ 문의 
 부산시 전용 콜센터(1661-8112) 또는 각 구·군 콜센터
 정부 전담 콜센터(1533-2021)
- 작성자
- 성정환
- 작성일자
- 2021-09-0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