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정보 바이러스보다 더 위험…정보 출처 먼저 확인하세요
방역대책본부 “잘못된 정보 퍼지는 ‘정보 감염증’ 주의해야”
- 내용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정보 감염증(인포데믹)’ 현상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 이미지는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에서 발표한 코로나19를 이겨내는 정보이용능력 가이드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코로나19에 관한 잘못된 정보가 감염병처럼 퍼지는 ‘정보 감염증(인포데믹)’ 현상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주변 사람의 소문·SNS·포털 사이트와 유튜브 등 온라인 및 언론매체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출처가 신뢰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인포데믹(infordemic)’이란 정보(information)와 감염병유행(epidemic)의 합성어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과도한 정보가 쏟아지는 상황에서 틀린 정보와 맞는 정보가 뒤섞여서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올바른 정보를 선별하기 어려운 상황’을 뜻한다. 최근 코로나19와 관련해 가짜뉴스나 악성루머가 퍼지는 현상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얼마 전 경기도 한 교회의 ‘소금물 분무 사고’와 가정에서 일어난 ‘메탄올(공업용 알콜) 중독사고’는 대표적인 인포데믹 현상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3월 23일 정례브리핑에서 “의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잘못된 정보는 바이러스보다 더욱 위험하다”고 주의를 당부하면서 “의심스러운 정보를 접했을 때 출처를 먼저 확인하고, 과학적으로 검증된 내용인지, 방역당국과 감염병전문상담 등을 통해 사실여부를 반드시 확인해 줄 것”을 요청했다. - 이와 관련해 최근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KATOM)에서는 코로나19를 이겨내는 정보이용능력 가이드를 발표했다. - 이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정보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불필요한 공포와 불안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보 출처 확인하기 △미디어 생산자의 관점에 따라 정보 왜곡이 있는지 여부 확인하기 △의학정보는 전문가의 견해인지 확인하기 등이 필요하다. -  - 또한, △특정 지역·집단에 대한 차별, 혐오 표현은 걸러서 보기 △부정확한 소문, 거짓 정보 공유하지 않기 △미디어 이용시간을 정해놓고, 휴식시간 갖기 등 올바른 미디어 정보이용을 설명한다. - <자료출처·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 작성자
- 하나은
- 작성일자
- 2020-03-24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