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562호 경제

부산항, 환적화물 물동량 세계 3위 우뚝

지난해 ‘컨’ 환적 810만TEU 처리…국내 항만 전체 95.8% 규모

내용

 

지난해 부산항이 처리한 환적화물은 810만TEU로 전년 735만2천TEU보다 10.2% 증가했다. 부산항의 환적화물 물동량은 세계 3대 항만 수준이다(사진은 부산신항 컨 하역 작업 모습).

동북아 물류허브 부산항이 국내외 경기 침체에도 세계 3위 환적항만 지위를 유지했다. 국토해양부와 부산항만공사(BPA) 집계(추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항이 처리한 환적화물은 810만TEU로 전년 735만2천TEU보다 10.2% 증가했다. 국토부는 지난해 부산항 환적화물 처리 규모는 싱가포르, 홍콩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4위는 상하이항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환적화물은 항만 내에서 배만 바꿔 싣고 떠나는 화물로 수출입화물에 비해 부가가치가 높다.

지난해 국내 항만이 처리한 컨 물동량은 2천249만7천TEU로 전년 2천161만1천TEU보다 88만6천TEU(4.1%) 증가했다. 2011년 첫 2천만TEU 돌파 이후 2년 연속 2천만TEU를 달성한 것이다. 세계경제 위기, 중국경제 성장률 둔화, 내수경기 침체 등 국내외 여건 악화에도 국내 항만의 2년 연속 컨 2천만TEU 돌파는 부산항이 큰 역할을 했다. 지난해 부산항이 처리한 연간 물동량은 1천703만1천TEU로 개항 이후 처음으로 1천700만TEU 시대를 열었다. 지금까지 부산항의 연간 최고 물동량은 2011년 달성한 1천618만4천TEU이다. 부산항은 국내 항만 전체 물동량의 75.7%를 처리했다. 특히 환적화물은 95.8%를 담당했다.

부산항 환적화물이 크게 증가한 것은 부산시와 BPA가 전 세계 주요 선사 대상의 타깃마케팅에 나서 환적화물 유치를 크게 늘린 결과이다. 부산시와 BPA는 지난해 머스크, CMA-CGM, APL 같은 글로벌 외국선사와 한진해운, 현대상선 등 국적선사를 대상으로 활발한 유치 활동을 전개했다. 이 같은 노력으로 국내외 경기 침체에도 지난해 부산항의 환적화물은 전년보다 10.1% 증가했다. 부산시와 BPA는 올 컨 물동량 목표치를 지난해 보다 5.7% 늘어난 1천800만TEU로 세웠다.

작성자
조민제
작성일자
2013-01-28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562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