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컨 1,500만 돌파, 슈퍼허브항만 우뚝
수출한국 성장 견인… 1,600만TEU 시대 눈앞
- 내용
부산항의 연간 컨테이너 처리실적이 사상 처음으로 1천500만TEU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역대최대인 1천600만TEU 달성도 가능할 전망이다. 연간 물동량이 1천500만TEU를 넘어서면 ‘슈퍼항만’ 영예가 주어진다. 슈퍼항만은 중국 상하이와 선전, 홍콩, 싱가포르항만 뿐이었다.
부산항의 연간 컨테이너 처리실적이 사상 처음으로 1천500만TEU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올 들어 지난달 말 현재 누적 물동량은 1천479만3천TEU로 7일 1천500만TEU를 넘어설 전망이다(사진은 부산신항에서의 컨 하역 모습).부산광역시와 국토해양부, 부산항만공사(BPA)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 현재 부산항이 처리한 누적 컨테이너 물동량은 1천479만3천TEU(추정치)로 하루평균 4만4천290TEU를 처리했다. 이 같은 추세를 이어갈 경우 부산항 물동량은 7일 1천500만TEU를 넘어설 전망이다. 지금까지 부산항의 연간 최고 물동량은 지난해 기록한 1천419만TEU다.
부산시와 국토부, BPA는 7일 부산신항만(PNC)에서 ‘부산항 컨테이너 1천500만TEU 달성 기념행사’를 연다. 행사에는 허남식 부산시장, 권도엽 국토부 장관, 김두관 경남도지사, 노기태 BPA사장을 비롯해 터미널 운영사 관계자 등 5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부산항은 1978년 국내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부두인 자성대터미널을 개장하면서 본격적인 컨테이너 중심항만으로 발돋움했다. 이후 세계에서 9번째로 연간 무역액 1조원 달러 시대를 연 우리나라의 수출입 관문으로 수출한국을 견인하고 있다.
부산항의 눈부신 성장은 2006년 개장한 부산신항이 큰 기여를 했다. 2006년 1월 19일 개장식을 갖고 본격 운영에 들어간 부산신항은 2008년까지는 부산항 전체 물동량의 11.7% 처리에 그쳤지만, 2009년 22.5%로 급증한 뒤 지난해는 38.6%까지 늘었다. 올 들어서는 10월 말 현재 부산항 전체 물동량의 47.3%를 처리했다.
- 작성자
- 조민제
- 작성일자
- 2011-12-07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503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