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 함께하면 경쟁력↑… 시의회, 디딤돌 역할 할 것
인터뷰-부산경남행정통합특별위원회 박대근 위원장
- 내용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자체의 통합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통합을 통해 정책‧예산 효율성을 높여 지역발전의 동력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부산-경남, 대구-경북, 대전-충남 등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부산과 경남의 통합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는 지난해 11월 공론화위원회를 출범하는 등 차근차근 단계를 밟고 있다. 부산시의회도 힘을 더하기 위해 지난 3월 27일 ‘행정통합특별위원회’를 출범했다.
부산경남행정통합특별위원회 박대근 위원장은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시민의견 수렴에 나선다고 밝혔다.
△부산경남행정통합특별위원회 박대근 위원장박 위원장은 부산·경남 행정통합의 가장 큰 목적은 ‘지역 경쟁력 강화’라고 강조했다. 수도권 집중화로 인한 인구 감소와 경제 침체는 두 지역이 공동으로 겪는 문제로, 통합을 통해 규모의 경제 실현과 산업 간 협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박 위원장은 “부산과 경남은 역사적으로 하나의 생활권을 공유해 왔고, 경제·산업·문화적으로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통합은 이러한 연계를 더 강화시켜 줄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의회가 행정통합특별위원회를 출범하고 부산-경남 행정통합에 힘을 더한다(사진은 부산시의회 행정통합특위가 지난 3월 27일 진행한 첫 회의 모습).행정통합이 실현되면 시민들은 행정 서비스의 신속성과 광역교통 체계 개선을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항만·물류 중심지 부산과 제조업 중심지 경남의 통합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합 추진의 걸림돌로는 시민들의 ‘공감 부족’과 ‘불안감’을 꼽았다. 지역 정체성 훼손이나 역차별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박 위원장은 이런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의회 차원에서 공청회‧토론회 등 다양한 방식의 소통으로 시민 인식개선에 앞장선다는 계획도 밝혔다.
부산과 경남 양 시도의회 모두 행정통합에 대한 의지를 밝히며 특별위원회를 구성한 상황이다. 박 위원장은 “경남도의회의 특위와 지속적인 간담회와 정책 협의를 통해 협력의 틀을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특위는 지난 4월 채택한 활동계획서를 바탕으로 상반기에는 경남도의회 특위, 공론화위원회 등 관계 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하반기에는 시민 의견 수렴을 거쳐 통합정책의 실효성 확보 방안 논의에 주력할 계획이다. 다른 지역의 사례를 연구해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나선다.
박 위원장은 “행정통합은 지역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과제로 시민 한 분 한 분의 관심과 참여가 모여야 비로소 성공할 수 있다”며 “위원회도 끝까지 책임감 있게 논의를 이끌어 가겠다”고 시민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 작성자
- 조현경
- 작성일자
- 2025-05-08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202505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