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적 접근·남북 공동보조” 필요
고구려사 왜곡 시민대토론회서 주장
- 내용
- ‘동북공정’으로 상징되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은 동북아 질서를 새로 구축하기 위한 중국 정부 차원의 의도적 조작이며,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치밀한 학술적 접근과 함께 남북한 정부의 공동 대응이 가장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9일 부산시청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진실은 무엇인가’시민대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은 중국의 의도된 역사왜곡을 한목소리로 비판하고 정부의 적극적 대응을 촉구했다. 부산시민단체협의회 부산민족학교 공동주최, 부산광역시 농협 부산지역본부 후원으로 열린 이날 토론회는 이만열 국사편찬위원장이 주제발표, 송동선(국제신문 논설위원) 신경철(부산대 교수) 이근우(부경대 교수) 한규철(경성대 교수)씨가 토론했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격려사에서 “고구려사 왜곡의 진실을 밝히는 한편 동북아 거점도시로서의 해양수도 부산의 정체성을 지키고 부산만의 특색 있는 문화를 만드는데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만열 국사편찬위원장은 주제발표에서 “동북공정은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중국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중국 정부의 의도가 드러난 작업”이라고 규정했다. 중국의 주장이 정립된다면 고구려 이전의 고조선사 부여사와 발해사를 연결시켜주는 연결고리가 없어진다는 것.이 위원장은 “한국사는 그 근간과 한민족의 정체성을 흔드는 중대한 역사 왜곡 또는 역사 단절의 후유증을 앓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송동선 국제신문 논설위원은 “범국민 차원의 고구려테마파트 조성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한 현실적인 대처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04-09-18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131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