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202415호 의정

전기차 충전시설 안전관리 강화하라

내용

부산시의회, 긴급간담회

전기차 배터리 정보공개

화재 진압 장비 보강 등 제안



 최근 잇따른 화재 사고로 인해 전기차 안전 관리에 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부산광역시의회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부산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원회는 지난 8월 26일 해양도시안전위원장실에서 전기차 안전성 강화를 위한 종합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


 해양도시안전위에 따르면 부산시에 등록된 전기 차량은 3만9천519대. 충전시설은 2만1천391기가 설치돼 있다. 부산에서는 지금까지 11건의 전기차 화재가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4건은 차량 충전 중이거나 주차된 상태에서 발생했다. 이에 부산시는 지난 8월 14일 `전기차 안전 현안 점검회의'를 통해 출동 골든타임 확보 및 소방장비 확충, 화재 예방형 충전기 보급 등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해양도시안전위원회도 시의회 차원의 전기차 화재 안전대책을 주문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해양도시안전위원회 의원 8명, 시민안전실, 소방재난본부가 참석해 시민안전을 확보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해양도시안전위원회는 △전기차 충전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 확대 △전기차 화재진압 장비 보강 및 소방차 개선 추진 △전기차 화재에 대한 실화재 훈련 △전기차 화재 발생 시 시민 대피 요령 적극 홍보 등 5가지 사항을 제안했다.


 부산시의회는 전기차 안전관리를 위해 적극적인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 2023년 6월에는 `부산시 환경친화적 자동차 전용주차구역의 화재예방 및 안전시설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전기차 화재 피해 예방을 위한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했다. 정부에 적극적인 제도 마련도 촉구한다.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 촉구 건의안'을 통해 정부에 전기차 화재 예방과 실질적인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설 계획이다. 건의안은 제324회 임시회에서 심사해 통과되면 정부 등에 전달할 계획이다.


14-1cw14
△부산시의회가 전기차 안전관리를 위해 의정 역량을 모은다. 긴급 간담회를 개최해 소방서 등과 협의하고 정부에 건의안을 전달해 대책마련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사진은 지난 8월 26일 열린 전기차 안전관리 긴급 간담회 모습).


제324회 임시회 개회 125건 안건 심사


 부산광역시의회는 8월 27일부터 9월 9일까지 14일간의 일정으로 제324회 임시회를 개회한다. 부산시의회는 이번 임시회 기간 중 `2024년도 행정사무감사계획'을 승인하고, 조례안 59건, 동의안 58건, 의견청취안 6건, 건의안 2건 등 모두 125건의 안건을 처리한다.


 8월 28일∼9월 4일까지 상임위원회 활동을 이어가며, 9월 5∼6일 열리는 제2·3차 본회의에서는 모두 13명의 의원이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을 상대로 시정질문을 펼친다. 8월 27일 제1차 운영위원회와 9월 9일 제2차 운영위원회를 열고 4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는 결의안을 심의한다. `지방시대 특별위원회' `민생경제 특별위원회' `글로벌 거점도시 건설 특별위원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 등 4개 특별위원회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어 9월 9일 제4차 본회의를 마지막으로 폐회한다.


 다음 제325회 정례회는 11월 5일부터 12월 17일까지 43일간 개회할 예정이다.

작성자
조현경
작성일자
2024-09-02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202415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