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근로 계속 돼야' 82%
3단계 사업참여 신청자 설문조사
- 내용
- 임금 근무조건 개선 가장 많이 원해/학력 연령별 인식 편차… 계획 수립에 반영키로 공공근로사업에 참여한 참가자의 82.4%는 어떤 형태로든 공공근로사업이 지속돼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공공근로사업 중 가장 보완돼야 할 부분은 `임금'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부산시가 지난 6월22일부터 한달동안 올해 3단계 공공근로사업참여 신청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 밝혀졌다. 이번 조사는 IMF로 인한 대량 실업사태에 대비, 단기 실업대책으로 추진중인 공공근로사업 참여자들에 대한 실태를 파악해 향후 공공근로사업 추진계획 및 발전방향 수립을 위해 실시됐다. 설문은 실직당시의 상황, 현재 생활상태, 참여자 구직활동 노력 등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실직하기 전 종사 직종은 건설일용근로자 등 단순노무직종 종사가 25.9%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일반사무직(17.5%) 자영업 경영(11.4%) 판매?♠?洲봐?10.5%) 일반기술직(7.2%) 순으로 나타났다. 실직 전 월평균 소득은 50만∼100만원 미만이 42.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100만∼150만원(19%), 50만원 미만(17.3%)으로 나타나 전체 응답자의 60% 가량이 월 소득 100만원이 채못되는 저임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250만원 이상도 4.4%였다. 실직전 다니던 직장의 소재지는 부산이 82.6%로 압도적으로 많아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웠던 당시 부산의 경제상황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을 그만두게 된 이유는 직장의 도산?▒燦?▥騁?27%)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일감감소(22.8%) 건강 결혼 등 개인사정(18.8%) 명예?⊙떡邃彫?6.5%) 등의 순이었다. 실직 중 생활비 충당방법은 배우자 또는 가족 구성원의 수입에 의존한 경우가 38.8%로 가장 많았으며, 저금 22%, 친지 도움 9%, 은행 빚 6%, 실업급여 4.8%, 기타 14.4% 였다. 한편 공공근로사업과 관련한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학력 연령에 따라 대조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공공근로사업을 폐지하자는 여론에 대한 의견은 고학력의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층에서는 `문제점을 보완해 계속 실시'(38.8%)하거나 `실업해소에 근본적인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계속되어서는 안된다'(9.2%)고 생각하는 반면 저학력의 장년층에서는 공공근로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으므로 `현행대로 계속 실시해야'(38.8%)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시 실업대책반은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공공근로사업 참여 신청자들의 학력?♧Х?♠볶걀?따른 인식의 편차가 상당히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설명하고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공공근로사업 추진계획 및 발전방향 수립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문의:시 실업대책반(888-4883)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01-08-30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976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