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성대부두 일대, 글로벌 해양관광도시로
해수부 '부산항 시티' 계획 발표 … 3월 타당성 용역 착수
'주거·상업·업무·해양' 기능 갖춘 '콤팩트 복합도심' 개발
- 내용
- 부산항 북항 자성대부두와 낙후된 주변 지역이 다양한 기능을 갖춘 콤팩트 복합도심인 '부산항 시티'(가칭)로 탈바꿈한다. '콤팩트 복합도심'은 한정된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업·업무·관광·주거·해양산업 시설을 복합화해 개발하는 것이다. 부산이 글로벌 해양도시로 나아가는 데 큰 힘을 실어주는 개발 방식이다. -   
 ▲부산항 북항 자성대부두 일대가 다양한 기능을 갖춘 콤팩트 복합도심인 '부산항 시티'로 탈바꿈한다. 해수부는 '부산항 시티' 개발사업을 올해부터 추진할 계획이다(사진은 부산항 북항 일대 모습).
 해양수산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부산항 시티' 개발계획을 발표하고, 올해부터 차질 없는 사업추진에 나설 것이라고 최근 밝혔다. '부산항 시티' 개발계획의 대상지역은 자성대 컨테이너부두(74만8천㎡)와 부두 배후의 낙후된 범일5동 일부 37만7천㎡를 포함한 112만5천㎡이다.-  
 해수부는 상업·관광·주거·해양관련 업무시설이 복합적으로 밀집된 고밀도개발을 통해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높여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해수부의 '부산항 시티' 사업계획은 자성대부두 일대 북항재개발 1단계 지역과 주변의 국제여객부두와 크루즈부두, 부산역 등 국제관문으로서 입지 특성을 활용해 콤팩트 복합도심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배후지 노후 주택가에는 교육·문화·의료 등 주거기능을 도입해 국내외 관광객과 주민이 한데 어울리는 정주형 도시로 개발한다.-  
 '부산항 시티' 사업을 통해 자성대부두 일대가 콤팩트 복합도심으로 새롭게 변모하면 북항재개발 지역의 경쟁력 향상뿐만 아니라 인근의 중·동·서구 등 원도심지역까지 개발 효과 영향으로 부산이 글로벌 해양관광도시로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경쟁력을 갖춘다. 이와 함께 '원도심∼북항 재개발 1단계∼재개발 2단계∼서면∼부산국제금융센터'를 잇는 새로운 도심 축을 형성한다. 특히 그 동안 상대적으로 주거기능이 미약해 정주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돼 온 북항 1단계 개발에도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가져다 줄 전망이다.-  
 해수부는 지역주민 의견 수렴과 관계 전문가 토론회, 관계기관 협의, 중앙항만정책심의회 등을 거쳐 자성대부두 재개발사업을 올 상반기 중으로 항만재개발 기본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3월부터는 민간투자 유치를 위한 사업 타당성 조사용역을 통해 구체적인 사업 방식과 세부추진 계획을 검토할 방침이다. 착공은 2019년 7월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사업비는 11조2천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재개발사업을 완료하면 연간 33조원대의 생산유발효과와 1만6천여명의 고용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 원도심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성대부두는 국내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부두로 1978년 개장했다. 우리나라 수출입 물동량 처리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지만 2006년 부산신항 개장 후 물동량이 부산신항으로 쏠리면서 활력이 떨어졌다. 현재 한국허치슨터미널이 2019년 6월까지 부두를 임대해 운영 중이다.
- 작성자
- 조민제
- 작성일자
- 2016-01-13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712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