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669호 시정

고용률 64%·실업률 3%대·취업자 168만명

고용·복지 증대, 4대 전략·11개 시책 추진 … 부산형 고용평가제 도입·1기업 1후견인제 운영

내용

서병수 부산시장의 민선 6기 시정 최우선 과제는 '일자리 창출'이다. 지난해 시장 선거 과정에서 '일자리 시장'을 슬로건으로 내세울 정도로 일자리 창출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부산시의 올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에는 이 같은 서 시장의 의지를 적극 담았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철저한 추진 점검, 이 두 가지 주제에 무게중심이 놓여 있다.

부산시는 올 한해 2조1천466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해 모두 16만8천343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사진은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부산기업 현장투어 모습).

부산시는 올 한해 2조1천466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해 모두 16만8천343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부산시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하고 부산형 고용평가제를 도입하는 등 일자리가 실질적으로 얼마나 창출되는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간다. 올 일자리 관련 예산은 지난해 1조3천800여억원보다 55.5%나 증가한 것으로 일자리와 산업을 연계하고, 고용 및 복지증대, 고용의 질 향상, 일자리 창출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등 4대 전략과 11개 시책으로 추진한다.

대상별로는 퇴직을 시작한 베이비부머(1955∼63년생) 세대를 포함한 중·장년층 일자리 창출에 1조6천150억원을 투입하며, 청년층 4천501억원, 노인층 815억원을 배정했다. 추진전략별로는 취약계층을 위한 고용 및 복지증대에 1조158억원을 투입해 11만6천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연구개발(R&D) 및 기업유치 등 일자리 및 산업연계 사업에 8천억원의 예산을 들여 1만1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부산시는 이 같은 일자리 창출계획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해 지난달 27일 첫 회의를 가졌다. 서 시장이 직접 위원장을 맡은 일자리위원회는 공무원이 아닌 30명 내외의 기업인과 전문가 위주로 이뤄졌다. 부산시는 일자리창출계획이 단순히 계획에만 머물지 않도록 일자리 창출 실적을 매월 말 제출토록 해 책임감을 부여했다.

□ 2015 부산시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

연계사업 사업내용 사업비
(2조1,466억원)
일자리
(168,343개)
산업-고용 융합 R&D, 산업, 기업유치 8,004억원 11,104개
고용의 질 제고 직업능력, 고용향상 3,304억원 40,544개
고용-복지 증대 취약계층, 저임금 등 10,158억원 116,695개
작성자
조민제
작성일자
2015-03-03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669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