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률 64%·실업률 3%대·취업자 168만명
고용·복지 증대, 4대 전략·11개 시책 추진 … 부산형 고용평가제 도입·1기업 1후견인제 운영
- 내용
서병수 부산시장의 민선 6기 시정 최우선 과제는 '일자리 창출'이다. 지난해 시장 선거 과정에서 '일자리 시장'을 슬로건으로 내세울 정도로 일자리 창출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부산시의 올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에는 이 같은 서 시장의 의지를 적극 담았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철저한 추진 점검, 이 두 가지 주제에 무게중심이 놓여 있다.
부산시는 올 한해 2조1천466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해 모두 16만8천343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사진은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부산기업 현장투어 모습).부산시는 올 한해 2조1천466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해 모두 16만8천343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부산시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하고 부산형 고용평가제를 도입하는 등 일자리가 실질적으로 얼마나 창출되는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간다. 올 일자리 관련 예산은 지난해 1조3천800여억원보다 55.5%나 증가한 것으로 일자리와 산업을 연계하고, 고용 및 복지증대, 고용의 질 향상, 일자리 창출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등 4대 전략과 11개 시책으로 추진한다.
대상별로는 퇴직을 시작한 베이비부머(1955∼63년생) 세대를 포함한 중·장년층 일자리 창출에 1조6천150억원을 투입하며, 청년층 4천501억원, 노인층 815억원을 배정했다. 추진전략별로는 취약계층을 위한 고용 및 복지증대에 1조158억원을 투입해 11만6천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연구개발(R&D) 및 기업유치 등 일자리 및 산업연계 사업에 8천억원의 예산을 들여 1만1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부산시는 이 같은 일자리 창출계획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해 지난달 27일 첫 회의를 가졌다. 서 시장이 직접 위원장을 맡은 일자리위원회는 공무원이 아닌 30명 내외의 기업인과 전문가 위주로 이뤄졌다. 부산시는 일자리창출계획이 단순히 계획에만 머물지 않도록 일자리 창출 실적을 매월 말 제출토록 해 책임감을 부여했다.
□ 2015 부산시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
연계사업 사업내용 사업비
(2조1,466억원)일자리
(168,343개)산업-고용 융합 R&D, 산업, 기업유치 8,004억원 → 11,104개 고용의 질 제고 직업능력, 고용향상 3,304억원 → 40,544개 고용-복지 증대 취약계층, 저임금 등 10,158억원 → 116,695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