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패스 오작동 방지장치, 부산시 공무원이 발명
건설정책과 문원수 씨 특허 출원
올 1월부터 광안대교서 연구·실험
- 내용
-
부산광역시 공무원이 유료도로 하이패스의 요금징수 오작동을 막는 장치를 개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주인공은 부산시 건설정책과에 근무하는 문원수(39·지방행정주사보·사진) 주무관. 문 주무관은 지난 1월 하이패스의 잦은 오작동을 발견했다. 하이패스차로가 아닌 인접한 일반차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하이패스단말기에서 통행료가 징수되는 것을 확인한 것. 하이패스 전파가 일반차로까지 침범하는 현상이 원인이라는 것을 밝혀냈지만, 이를 방지하는 기술이나 제품이 없었다. 대책으로 '전파차단벽' 설치를 고려했으나, 운전자 시야를 가려 안전운전에 방해가 되고 예산 반영과 설치까지 1년 이상 걸리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 전파차단벽은 설치비용이 1개 차로에 8천만원으로, 광안대교뿐만 아니라 백양터널, 수정산터널, 을숙도대교까지 감안하면 14개 차로에 11억2천만원의 예산을 쏟아 부어야 하는 부담이 컸다.
문 주무관은 예산을 적게 들이면서도 시민불편과 불이익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찾기 시작했다. 수개월간 현장에 상주하며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끝에 하이패스 오작동 방지장치인 '쉴드박스(Shield Box)'를 발명한 것. 쉴드박스는 전파차단 특수소재로 만든 조그만 박스로, 하이패스차로 안테나에 씌우면 인근 일반차로까지 전파가 침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부산시는 지난달 31일 시정조정위원회를 열어 문 주무관의 발명품을 '공무원 직무발명품'으로 인정했다. 그리고 시중에 하이패스 전파의 일반차로 침범을 막는 기술이 없다는 점을 인정해 특허를 출원키로 했다. 공무원 직무발명품은 특허를 획득하면 소속 기관이 특허권을 갖고, 해당 공무원에게 소정의 상금을 준다.
문 주무관은 "이번 발명은 주위의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특허 등록에 따른 상금은 지역 과학발전, 발명가 육성을 위해 전액 장학금으로 기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14-08-13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642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