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618호 시정

‘부산정신’ 송상현 동상, 더 늠름하게 돌아왔다

보수·보강 새단장… 5월 광장 개장 함께 공개

내용

도심광장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송상현 광장이 올 5월이면 부산시민과 만난다. 시민들을 위한 산책로와 공연·전시공간이 들어설 송상현 광장은 규모나 활용 면에서 서울 광화문 광장을 훨씬 능가할 전망이다. 이 송상현 광장의 주요 상징물인 송상현 동상이 지난 19일 그 모습을 복원해 돌아왔다.

송상현 광장의 상징인 송상현 동상이 복원·보강을 마치고 지난 19일 설치를 마쳤다(사진은 송상현 광장에 동상을 다시 설치하고 있는 모습).

1978년 만들어진 동상은 지난 2012년 12월 철거 당시, 본체에 수많은 구멍이 발견되는 등 부식상태가 심각했다. 보수해도 잔존수명을 예측하기 곤란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었다. 부산시는 송상현 동상을 살리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였다. 전문가들로 구성한 동상 복원 자문회의를 2번 열어 1년 여 끝에 드디어 동상 복원 공사를 완료했다.

동상을 설치하고 고사를 지내고 있는 모습.

지난 19일 새벽, 덤프트럭 한 대가 송상현 광장 조성 현장에 도착했다. 경기도 남양주시 보수공장을 출발해 밤새도록 달려온 덤프트럭 안에는 새 단장한 송상현 동상이 고이 잠들어 있었다. 40여년의 세월동안 낡고 허물어진 부분을 고치고 다듬어 새것처럼 다시 태어난 것이다.

"전체 틀이 되는 뼈대를 스텐으로 보강했고, 발 부분은 주물을 떠서 새로 맞추고 색깔도 분칠을 새로 입혀, 원형 그대로 보존하려 했다" 김광섭 미술품보존연구소 소장은 만만치 않았던 그동안의 작업과정을 설명했다.

이날, 길이 4.5m, 폭 2.8m 규모의 거대한 동상을 설치하기 위해 대형 크레인이 동원됐다. 한 치의 흠도 없이 좌대에 무사히 안착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장비 세팅 작업이 필수. 동상은 원래 있던 자리에서 북서쪽으로 13m 이동한 새 좌대에 무사히 안착했다.

하늘 높이 늠름하게 세워진 송상현 동래부사. 임진왜란 당시, 적장이 "싸우고 싶거든 싸우고, 싸우고 싶지 않거든 길을 빌려 달라"는 말에 "싸워서 죽는 것은 쉬워도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며 끝까지 항전했다. 죽음 앞에서도 목숨을 구걸하지 않고 시민과 똘똘 뭉쳐 싸웠던 그의 모습에서 살아 숨쉬는 '부산 정신'을 느낄 수 있다. 마치, 송상현공의 기개가 송상현 광장을 휘감는 듯하다.

시민들도 돌아온 송상현 동상을 반기고 있다.  임종철(부산진구 양정동)씨는 "가게에서 항상 보이던 뒷모습이었는데 몇 개월 동안 안 보여서 섭섭했다"며 "다시 돌아와 너무 반갑고, 앞으로도 계속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송상현 동상은 광장의 상징물을 넘어, 부산을 대표하는 역사적인 상징물이다. 조만간 개장할 시민공원과 축으로 연결돼 부산시 중심가의 명물로 탄생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복원된 송상현 동상은 비나 바람의 손상을 막기 위해 덮개를 씌운 뒤 5월, 광장 개장과 함께 시민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 이 글의 영상은 부산시 인터넷방송 바다TV(www.badatv.com)에서 볼 수 있습니다.

작성자
민경순
작성일자
2014-02-26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618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