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원전 주변 12곳 방사능 감시
주민보호 위한 약품·장비·물자 구비…매뉴얼 배포
- 내용
일본 대지진에 따른 원전사태로 시민불안이 증폭되고 있으나 실제 일본 방사선이 기류를 타고 부산으로 넘어 올 확률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광역시는 그러나 일본 원전사태를 계기로 기장군 고리원전에 대한 세밀한 점검과 함께 원전주변지역 12곳을 중심으로 환경방사능감시기를 가동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갑상선방호약품, 방독면, 보호의, 방사선 계측기 같은 장비와 물자를 구비, 이에 대한 점검도 반복하고 있다.
방사성옥소에 대비한 우리나라 안정화옥소(KI) 보유수량은 45만2천516정으로 이중 38만4천정(고리원전 보유현황 포함)을 부산이 보유하고 있다.
부산시는 지진·해일 발생에 대비한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재해지도(대피로, 대피소) 등을 작성, 해안가를 접한 10개 구·군에 배포했다. 점검결과 부산 해안가 52곳을 비롯한 260여곳의 경보단말기는 모두 정상 가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계획구역을 원전반경 10km내로 설정하고 외곽에 학교 등 16개소를 대피시설로 지정해 만일의 대피사태에도 대비하고 있다.
전문기관인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일본 원전사고의 방사능 영향은 없으며, 최악의 상황에서도 한반도와 부산은 아주 미미할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에서 가장 가까운 울릉도의 환경방사능은 평시와 같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현재까지 국내 환경방사능에 영향은 없다는 결론이다.
- 관련 콘텐츠
- 부산, ‘원전 불신’ 차분하게 넘자
- 작성자
- 박재관
- 작성일자
- 2011-03-22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467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