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특별시 승격 효과- 부산항 재도약 … 경쟁항만 쉽게 추월
- 내용
-
제목 없음 부산항 재도약 … 경쟁항만 쉽게 추월
해양특별시 승격 효과
해양특별시 법을 제정하고, 부산을 해양특별시로 승격할 경우 무엇보다 세계속의 부산항 위상 변화로 국가의 대외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향후 중국의 청도항이나 천진항, 닝보항 등의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지만, 부산신항 운영이 정상궤도에 들어서면 부산항의 재도약은 이를 뛰어넘을 것이란 예상이다.국내에서 차지하는 부산항의 위상도 크게 높아진다. 부산항은 한국 제1의 수출입 관문항으로 전 세계 440여개 항만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생산유발효과 1조 3천억
법 제정 후 북항을 재개발할 경우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가히 천문학적이다.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1조3천614억원, 취업유발 1만4천836명, 부가가치유발 5천715억원, 소득유발효과 2천935억원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다. 전 세계 주요 항만들과 성장가능성 및 항만경쟁력을 비교해도 부산항은 홍콩항과 로테르담항 등과 유사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일본에 대한 부산항의 허브항 역할 가능성도 점쳐볼 수 있다. 일본의 물류체계는 동부지역의 주요 항만에 집중, 구조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일본내 동부지역과 서부지역간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높은 물류비용, 물류 인프라 효율성 저하 등 많은 구조적 문제점을 부산항이 풀 수 있다. 부산항이 일본으로 유입되는 물류체계를 최적화시킴으로써 일본 기업들은 물류비용 절감과 물류 인프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부산항은 일본의 53개 항만과 서비스망을 구축, 일본의 허브 포트 기본 요건인 충분한 피더서비스 및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화물 창출효과 급상승
부산항은 세계 주요 항만과의 다양한 네트워크도 형성하고 있다. 2004년 기준 부산항에 개설된 주요 항만과의 항로만도 196개에 달한다. 국내외 배후 경제권의 확대 가능성도 높다. 저렴한 임대료와 인센티브 제도로 신항만 배후단지를 중심으로 국내외 물류업체들의 입주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이는 향후 부산항의 화물 창출효과 및 경쟁력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다.부산을 해양특별시로 승격하면 그 효과는 이처럼 엄청나다는 분석이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06-11-0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241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