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227호 시정

부산 하천 상류에 ‘1급수 물고기’

44곳 갈겨니·버들치·꺽지 등 36종 서식 … 첫 하천 생태지도 나와

내용
제목 없음

부산 하천 상류에‘1급수 물고기’

 

44곳 갈겨니·버들치·꺽지 등 36종 서식 … 첫 하천 생태지도 나와

 

BDI, ‘부산의 하천’ 발간(부산 하천 생태계 현황 아래 도표 참조)

 

 

부산의 하천에는 무슨 물고기와 식물들이 살까?부산을 흐르는 하천 상류에는 갈겨니, 버들치, 꺽지, 은어 등 1~2급수 물고기를 비롯 , 36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굴참나무, 물억새, 바랭이 등 식물 195종도 지천에 널려 있다. 부산발전연구원(BDI·원장 김영삼)이 부산의 지방2급 도시하천을 조사·분석한 ‘부산의 하천’을 최근 발간했다.

부산지역 44개 하천을 지난해 4월부터 일일이 현장 조사해 서식 어류와 식물, 수질 등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생태지도’를 만든 것.

낙동강 등 국가하천 4곳과 구·군이 관리하는 소하천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부산의 하천’에 따르면 44개 하천의 총 길이는 192.15km. 수영강이 19.20km로 가장 길다. 복개된 하천은 부산진·동·중·서구 등 도심지역 11개 하천을 비롯 43.31km로 전체 22.6%를 차지한다.하천의 생태계는 상류지역에 1~2급수 어종과 다양한 식물이 발견됐다.   <그림 참조>

수질은 동부산권역의 하천이 대체로 깨끗했으며, 상류로 갈수록 맑았다. 강서구 지사천이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0.1~0.6mg/ℓ로 가장 맑았다. BOD는 1mg/ℓ 이하가 1급수로, 수치가 낮을수록 물이 맑다. 다른 하천들도 대부분 상류는 깨끗했지만,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중하류나 복개구간은 BOD 수치가 22.7mg/ℓ(학장천)까지 급속히 치솟으며 수질이 나빠지는 현상을 나타냈다.  

 시민들은 대부분 하천을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
부산이야기
작성일자
2006-07-27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227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