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청 시설 운영은 이렇게 (승강기)
제어 운전 통제기능 갖춘 인공지능 시스템
- 내용
- ① 공조^환기 <&23301> 승강기 ③ 조명 ④ 청소^방역 ⑤ 주차장 ⑥ 기타 시설 부산시청은 `연산동시대\"\를 연 이래 청사의 기능도 공무원들의 업무처리 공간에서 시민과 의회, 그리고 공무원이 함께 시정을 논의하고 집행하는 `시민 자치의 요람\"\으로 개념이 바뀌었다. 그러나 시가 지난 1월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청사 시설 만족도\"\ 조사결과 청사 운영에 대한 이해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에 대한 이해를 돕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청사시설 운영에 대한 시스템을 안내한다. 〈편집자주〉 “9층입니다. 올라갑니다.” 부산시청사 승강기 안내방송. 자동안내방송장치 시스템에 의해 각 층별 안내를 받게 된다. 방문객들은 “승강기의 빠른 움직임과 친절한 안내방송에 놀란다”고 말한다. 부산시청사에 설치된 승강기는 모두 20대(시청 16대^시의회 4대). 24시간 운영되는 제어^운전^통제기능을 고루 갖춘 인공지능 최첨단 시스템이다. 승강기는 저층용과 고층용으로 나눠져 운행된다. 1∼15층을 이용할 때는 저층용, 15∼26층을 이용할 때는 고층용(1∼3, 7. 12층 이용 가능) 승강기를 이용해야 한다. 이외에도 비상용 (지하3∼26층)과 셔틀용(지하3∼지상2층)이 있다. 또 시의회의 지하3∼지상6층을 이용할 때는 전층용, 1∼6층 이용은 지상층용을 선택해야 한다. 이 모두가 에너지 절약을 위해 마련된 장치다. 버튼을 눌렀을 때 불이 켜지는 것은 불켜진 쪽의 출구가 가장 먼저 열림을 의미한다. 청사 내 승강기는 현 상황과 미래 예측 상황을 분석해 최적호기를 할당하는 기능과 호출 때 가장 인접한 승강기가 우선 도착하는 기능 등을 두루 갖추고 있다. 탑승 승객 수에 비해 작동된 버턴 수가 많을 경우 일제히 취소되는 장난부름취소기능 등도 있어 승강기 내의 장난은 금물. 특히 승강기가 고장이 난 경우 고장난 승강기 위치를 구조용 승강기가 광전장치로 검출하여 동일 위치에 도착해 승객을 안전하게 구출하는 자동구출운전기능 등도 갖추고 있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00-06-09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852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