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주민 정착 지원…부산, 글로벌 도시로”
정주기반 확충·소통강화 등 4대 전략·14개 과제 추진
외국인주민 8만3천401명, 부산 인구 대비 2.5%
- 내용
부산광역시가 외국인주민의 안정적인 지역 정착과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외국인주민과 함께 활력 있는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을 목표로 외국인주민 지원계획을 마련했다.
∎2025년도 부산시 외국인주민 지원계획
부산시는 지난 3월 28일 시청 7층 회의실에서 올해 첫 ‘부산시 외국인주민지원협의회’를 열고 이 같은 지원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회의에는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 부산경찰청, 부산출입국·외국인청, 부산지방고용노동청 등을 비롯해 전문가, 외국인주민 대표(필리핀·러시아·인도네시아·우즈베키스탄·네팔)로 구성된 위원 등이 참석했다.
△부산시는 ‘외국인주민과 함께 활력 있는 글로벌 허브도시’를 목표로 외국인주민 지원계획을 마련했다. 외국인주민의 안정적인 정착과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사진은 감천문화마을을 찾은 아세안 청년들). 사진제공·부산일보DB계획안은 외국인주민과 함께 할 수 있는 선순환 체계 구축을 목표로 △정주기반 마련 △정주 환경 조성 △상호 존중 및 소통강화 △지원체계 개선 등 4대 전략과 14개 과제, 52개 사업을 담았다.
부산시는 외국인주민의 정주기반 마련을 위해 ▷지역 기반 비자 정책 추진 ▷부산형 유학생 유치양성 전략을 수립한다. ▷통합 콜센터 구축 ▷초기 적응과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운영 ▷자녀 성장 지원과 생활 거주 지원 ▷취·창업 지원 등을 추진해 외국인주민이 살기 좋은 정주 환경을 조성한다. ▷부산 세계시민 축제 개최 ▷소통 네트워크 운영 ▷세계 시민교육 ▷외국인 정책 포럼 개최 등을 통해 상호 존중과 소통강화에 힘쓰고 ▷외국인 통합지원 체계 마련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등을 추진해 지원체계를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한다.
특히 법무부의 광역형 비자 및 지역 특화형 비자, 이민청 유치 전략 수립,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외국인 거주환경 조성 특례) 제정 등으로 외국인주민이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여건 조성에 힘쓴다.
부산 지역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외국인주민은 해마다 늘고 있다. 이에 부산시는 지난해 하반기 인구정책담당관실 내 외국인정책팀을 신설해 적극 대응하고 있다.
부산의 외국인주민은 2023년 말 기준 8만3천401명으로 부산 전체 인구의 2.5%, 전국 외국인주민의 3.4% 수준이다. 대다수는 근로자, 유학생, 결혼 이민자와 그들의 자녀 등이다. 국적별로는 베트남, 중국, 태국 출신이 많고 남구,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 등의 비중이 높다. 남구와 사상구는 유학생이, 사하구와 강서구는 외국인 근로자 비중이 다수를 차지한다.
- 작성자
- 부산이라좋다
- 작성일자
- 2025-04-29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202505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