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202409호 시정

확 바뀐 에코센터 …더 즐겁고 유익하고 편해졌다

1년간 새단장 마치고 재개관
시설 현대화·콘텐츠 최신화
전시해설·생태체험 등
계절 따라 즐길거리 풍성

내용

구석구석 부산 여행-  낙동강하구에코센터 


사하구 을숙도생태공원 안 `낙동강하구에코센터'(이하 에코센터) 전시관이 1년 간의 단장을 끝내고 다시 문을 열었다. 부산광역시 낙동강관리본부는 지난 5월 3일 낙동강하구에코센터 전시관 재개관식 후 시민에게 개방했다.


8-1cw22 낙동강에코센터2024-권성훈
△을숙도 생태습지가 한눈에 보이는 낙동강하구에코센터 실내탐조 공간. 사진:권성훈


에코센터는 생태복원지인 을숙도생태공원을 대표하는 시민 생태 교육·체험 공간으로 지난 2007년 6월 건립됐다. 철새 탐조와 다양한 체험을 통해 낙동강하구의 소중함을 배우는 살아있는 교육장으로 시민의 사랑을 받아왔다. 하지만 15년 이상의 세월이 흐르면서 내부 시설이 노후화되고, 전시 콘텐츠는 시대의 흐름에 뒤처져 리모델링의 필요성이 커졌다. 부산시는 지난 2023년 3월부터 에코센터를 휴관하고 40억 원을 들여 대대적인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했다.


새로 단장한 에코센터 전시관은 `을숙도 줌-인(ZOOM-IN):자연의 낙원, 을숙도 주민이 돼 생명을 탐험한다'는 주제에 맞춰 시설과 전시 콘텐츠를 크게 바꿨다. 전시·체험 중심이었던 기존 공간에 쉬는 공간을 더하고, 최신 영상·기술로 전시 콘텐츠를 재구성했다.


안내데스크가 있는 1층에는 전시 안내 키오스크 2대, 대형 화면 3대, 수유실, 기념품 판매점 등을 설치했다. 2층으로 이어지는 슬로프는 흰색 톤으로 깔끔하게 정돈했다. 다양한 박제와 모형으로 낙동강하구 생태계를 재현했었던 낡은 공간은 깔끔하게 정리, `붉은부리갈매기' 무리가 하늘을 날아다니듯 설치해 역동성을 더했다.


8-2cw14 낙동강에코센터2024-권성훈
△조류 박제 전시를 보고 있는 관람객들 모습.  사진:권성훈


2층으로 올라가면 8개의 미디어보드가 관람객을 맞는다. 미디어보드는 관객에 반응해 `을숙도의 사계'라는 작품을 선보인다. 을숙도의 사계절 풍경과 생물의 변화를 수묵화 애니메이션으로 섬세하게 표현한다.

2층 전시관은 크게 4개 존(구역)으로 설정했다. 1존은 낙동강 발원지와 연안사주 생성과정 등에 대해 설명한다. 2존은 낙동강하구의 다양한 생물 표본을 생생하게 전시한다. 포유류·어류와 식물 등 체계적으로 분류해 소개하고 있다.

3존은 `새들의 낙원 낙동강하구'를 표현한다. 가로 20m, 세로 2.5m의 조류 박제 전시장이 핵심이다. 107종 146개체의 조류 박제를 전시하고 있다. 전시물들은 부산야생동물치료센터에 들어온 사체나 치료 중 죽은 조류들로 만든 것과 기증받은 박제들로 구성했다.

8-3cw10 낙동강에코센터2024-권성훈
△실내탐조 공간에 설치된 쉼터. 사진:권성훈


4존은 에코센터의 대표 공간인 실내탐조 공간이다. 전면 통창인 공간에 망원경 2개만을 간단히 배치해 개방감을 높였다. 한쪽에는 계단식 좌석을 설치해 편하게 앉아 생태습지를 느긋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3차원 입체 영상으로 바꿔주는 `라이브 스케치', 새소리로 음악을 만들어 보는 체험 프로그램 등 어린이 체험·놀이 공간을 곳곳에 설치해 어린이들이 놀며 배울 수 있는 공간도 확충했다.

현대문학 속 낙동강하구 모습으로 기획된 `을숙도 갤러리'와 낙동강하구 관련 전문 자료를 USB로 내려받을 수 있는 `기록 보관(아카이브) 공간' 등 인문학·학술 공간도 마련했다.

에코센터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무료 전시해설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전 10·11시, 오후 2·3시 시간대 별 10명 이상 30명 이하 초등학생 이상 단체를 대상으로 전시해설을 진행한다. 에코센터 홈페이지에서 사전 예약하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시민 참여 행사도 다양하다. △낙동강하구 자연물을 활용한 `생태체험 프로그램' △해설사와 을숙도 습지를 걸으며 생태해설을 듣는 `갈대길 걷기' △야생동물 구조·치료·재활 체험을 통해 공존의 의미를 이해하는 `야생동물 진료 체험' △어린이 환경 사생대회와 체험부스를 운영하는 `습지체험 행사'(6월 8∼9일) △을숙도의 최남단 탐방체험장에서 진행하는 `가을환경교육 행사'(9월 28∼29일) △`겨울철새맞이 행사'(11월 16∼17일) △생태 강연·문화공연 등으로 꾸며지는 을숙도 피크닉 생태문화마당(5∼6월, 9∼10월 2째주 토요일) 등이다.


■ 낙동강하구에코센터

  ▷ 주소:사하구 낙동남로 1240

  ▷ 관람시간:오전 9시∼오후 6시(입장 마감 오후 5시)

    매주 월요일 휴관(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화요일 휴관)

  ▷ 홈페이지:www.busan.go.kr/wetland

  ▷ 문의:051-209-2000

 ※ 각 프로그램과 행사는 기상악화 등으로 취소·일정 변경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에서 개최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작성자
조현경
작성일자
2024-05-2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202409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