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핫이슈

일본의 조선 침략 전초기지 김해죽도왜성

내용

한국 역사에서 조선시대 일본이 침공한 임진왜란은 매우 참혹한 전쟁의 하나였습니다. 온 국토가 쑥대밭이 됐고 많은 백성이 목숨을 잃거나 포로로 끌려 갔습니다. 나라가 힘이 약하고 국방과 안보에 실패하면 어떤 참담한 시련이 닥치는지 여실히 보여준 쓰라린 경험이었습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3346
 

임진왜란 역사 흔적은 아직도 나라 곳곳에 남아서 역사의 반면교사로 여기게 합니다. 부산에도 여러 곳에 임진왜란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김해죽도왜성입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3765
 

김해죽도왜성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가락산에 있는 것으로, 가락성 또는 죽도성이라고도 합니다. 가락산은 동서로 길게 뻗은 독립된 야산으로, 그 동쪽 끝이 낙동강 서쪽 지류에 인접해 있어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는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2946
 

이 성은 임진왜란 때 왜장인 니베시마가 쌓은 것으로, 해발 35m의 낮은 구릉지 양쪽에 축조되었습니다. 제일 높은 곳에는 소위 일본성의 양식인 본환(本丸)이 있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석재는 부근에서 구하기가 어려워 먼 곳에서 육로 및 뱃길을 이용하여 운반한 것으로 보입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2576
 

김해죽도왜성은 주변의 구포왜성, 양산왜성과 함께 삼각형을 이루어 김해 북쪽지역에서 내려오는 병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어의 요충지 역할을 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낙동강 지류를 이용하여 배로 만든 다른 성들과 긴밀한 연락을 도모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였습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2191
 

이 성은 감동포(甘同浦:구포)성과 함께 성 아래에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었으며, 면적은 30,000정도로서 축성할 때는 왜군이 점령지의 조선백성들을 강제로 동원하여 쌓았는데, 4만 여명의 인부가 동원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현재는 약 100m정도의 성벽만 남아있습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1625
 

비록 일본인의 이름으로 쌓았으나 강제로 동원된 조상들의 피와 땀으로 만들어진 문화유산이므로 소중히 보존되어야 할 것입니다. 김해죽도왜성은 부산 강서구 죽림동 787번지 일원에 있는데 부산시지정 기념물 제47호로 지장돼 관리하고 있습니다.

 

작성자
박정도
작성일자
2025-08-09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