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욕장과 해경
수평선
- 내용
-
해양경찰이 창설 61년 만에 해체위기에 몰렸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주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를 통해 해경 해체를 공식 발표했다. 박 대통령은 해경의 수사·정보 기능은 경찰청으로 넘기고 해양 구조·구난과 해양경비 분야는 신설하는 국가안전처로 이관해 해양안전의 전문성과 책임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해경 해체가 공식 발표된 후 당장 개장을 앞둔 전국 358개 해수욕장 안전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부산지역의 경우 해운대·광안리·송정·송도해수욕장 등 4개 해수욕장 다음달 1일 개장하고 다대포·일광·임랑 등 3개 해수욕장은 7월1일 개장한다. 해수욕장 안전관리 업무는 2012년부터 소방과 해경이 나눠서 맡고 있다. 그러나 구조 업무와 함께 해수욕장 범죄예방 등 치안 업무에 중점을 두고 활동해 온 해경의 공백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그동안 해수욕장의 시설관리는 해당 지자체가 맡고 안전관리는 소방본부 119구조대와 해경이 각각 맡았다. 지자체들은 해체가 예고된 해경과 소방 간 협업 체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각종 안전사고가 우려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우려처럼 협업 체제가 원활할지는 미지수다. 부산시소방안전본부는 올해 부산 7개 해수욕장에 소방공무원 174명과 자원봉사자 300명을 투입한다고 한다.
부산해경이 아직 정부 지침이 전달되거나 확정된 게 없는 만큼 올해 180여명의 구조대원을 배치하는 등 해수욕장 안전관리를 계획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라고 하니 다행이다. 해수욕장 개장 전에 지자체와 소방, 해경 등 유관기관은 대책회의를 열어 해수욕장 안전관리에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한다. 해경이 처한 여건이 좋지는 않지만 명예회복을 위해서라도 최선을 다해 줄 것을 시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14-05-28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631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