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산책 - 원자력 연구산업
- 내용
전국의 9개 지방자치단체가 수출형 연구용 원자로 사업을 유치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에 나섰다는 소식이다. 연구용 원자로 건설사업은 교육과학기술부가 내년부터 2015년까지 2천500억원을 들여 20메가와트(㎿) 규모의 연구용 원자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여기서 발생하는 중성자를 이용, 의료ㆍ산업용 방사성 동위원소 및 신소재 등을 연구·생산해 수출하는 사업이다. 핵분열 과정에서 생산되는 열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용 원자로와 달리 비발전 분야의 연구사업인 셈이다. 그런데 이미 선진국에서는 미래첨단산업인 이 비발전 분야 원전사업에 집중투자하고 있다.
그 만큼 전망이 밝기 때문이다. 원자력을 단순히 전력발전이 아니라 연구·생산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조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어서 더욱 그렇다.
부산 기장군은 이 같은 사업을 하기에 최적의 여건을 갖췄다. 지난 16일 개원한 동남권 원자력의학원과 국내 유일의 의료용 중입자가속기센터 등 원자력 관련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특히 이곳은 핵과학종합 복합단지로 개발중이어서 연구형 원자로사업에는 안성맞춤이다. 입지여건이 일단 매우 우수하다. 대도시 주변에 위치하고 동남해안의 절경을 끼고 있어 상주하게 될 연구원들이 가장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의학원을 비롯 해운대 등에는 대형 첨단병원들이 있어 의학연구에도 제격이다. 주변에는 동남권 국립과학관까지 들어설 예정으로 인프라도 훌륭하다.
교과부는 각 지자체로부터 사업계획서를 받아 실사를 거쳐 다음달이나 9월쯤 예비타당성 조사대상 지역 1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지역에 원전이 있다고 너도나도 꼭 유치를 해야 한다는 방식은 곤란하다. 경쟁이 치열하다보면 또 지역균형개발 등 정치적 논리에 휩싸일 수 있다. 한국의 미래를 위해 절대 그런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아울러 부산시 등도 이 같은 장점을 최대한 부각시키는 주도면밀한 유치전으로 이 사업을 꼭 부산으로 가져와야 할 것이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10-07-2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433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