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건설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4236건 (94/1424)

골재
콘크리트에 쓰이는 모래, 자갈, 깬돌 등을 말한다. 특히 자갈이나 깬돌을 굵은 골재라 하고, 모래를 잔골재라 한다. 댐 콘크리트용의 골재는 일반적으로 부근의 하천이나 산에서 원석을 채취하여 돌을 깨거나 혹은 입도조정을 하는데 양 혹은 굴착과 수송의 어려움 등을 충분히 조사한 다음에 채취에 관한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안된다.
골재 (骨材) aggregate
자갈, 부순돌, 모래등과 같은 입상 재료로서 시멘트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혼합물을 만들기 위해 이용될 때 골재라 부른다. 골재는 사용상의 편의상 입자의 크기에 따라 일반적으로 5mm를 경계로 하여 굵은 골재와 잔골재로 구분되지만 실제로 굵은 골재에도 5mm이하의 잔골재 성분이, 그리고 잔골재에도 10mm까지의 굵은 골재 성분이 각각 15%까지 혼입되어도 괜찮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아스팔트 혼합물용은 2.5mm경계로 잔골재. 굵은 골재를 구분하고
골재 계량기 (骨材計量機) aggergate batcher
콘크리트의 배합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골재를 중량 계량(重量計量) 하는 장치이다.
골재 수정 계수 (骨材修正係數) aggregate correction factor
다공질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을 측정하는 경우, 골재립의 흡수(吸水)가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
골재 플랜트 (骨材-) aggregate plant
원석. 천연 골재의 과대 입경의 것을 파쇄. 세정. 분급(分級) 등 일관적으로 골재 생산을 하는 설비.
골재간극률
골재는 물과 공기를 내포해서 다음 그림처럼 구성되어 있다. 간극률 n은 이 가운데의 물과 공기의 용적 Vv를 전체의 용적 V로 나눈 값을 %로 나타낸다. n Vv/V×100 e/(1+e)×100(%) Vv : 물과 공기의 용적, V : 전체 용적, e : 공극비
골재의 겉보기 밀도(골재의 습윤밀도)
골재는 물 및 공기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골재 간극룰의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다. 골재의 전체 무게를 전체 용적으로 나눈 값을 겉보기 밀도라고 한다.
골재의 실적률(實積率)
용기에 채운 골재절대용적의 그 용기용적에 대한 백분율
골재의 유효흡수율
공기중 건조상태의 골재가 표면건조포화상태까지 흡수하는 수량의 절건상태의 골재중량에 대한 백분율
골재의 입도
골재의 크고 작은알이 섞여있는 정도

자료관리 담당부서

공정안전팀
051-888-6051
최근 업데이트
2024-02-20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