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건설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4236건 (851/1424)

이차 광물(二次鑛物) secondary mineral
조암(造巖) 작용에 있어서 초생적으로 생성된 1차 광물이 산화, 분해, 용탈(溶脫) 등 어떤 화학적 작용을 받아 변질 생성한 광물. 지하로부터의 열수의 상승이나 지표수의 침투가 원인이다.
이차 냉각 (二次冷却) secondary cooling of concrete
- cooling of concrete
이차 복공 (二次覆工) secondary lining
실드 공사에서는 1차 복공(세그먼트 라이닝)에 이어 터널 내면을 콘크리트로 둘러 타설하는 것. 1차 복공 부분의 방호나 표면저항의 경감을 목적으로 한다. 터널 공사에서는 1차 지보의 변위 수속 후 전단면 이동식의 스틸 폼에 의해 0.2 ~ 0.6m 두께로 콘크리트를 복공하는 것을 말한다. NATM에서는 스프레이 콘크리트를 1차 복공, 그 안쪽에 2차 복공으로서 현장치기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차 부재 (二次部材) secondary member
주하중에 의해 응력을 받지 않는 부재를 말하며, 수평 트러스나 대경구 등이 포함된다. 부재(副材)라고도 한다.
이차 압밀 (二次壓密) secondary consolidation
통상의 압밀 과정(1차 압밀) 종료시 부근에서 인정되는 압밀 크리브 현상. 침하의 속도는 1차 압밀보다 느리다.
이차 오염 (二次汚染) secondary pollution
2차적 오염의 총칭. 예를 들면, 자동차 배기 가스 중위 NOx는 그 자신이 환경 오염을 야기하지만 태양광을 받아서 옥시던트를 발생시켜 더욱 환경을 오염한다.
이차 응력 (二次應力) secondary stress
구조물의 응력을 구하는 경우에 설정한 가정이 실제와는 엄밀하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응력. 예를 들면 트러스 부재의 축심 불일치 때문에 생기는 휨, 절점 구속에 의한 휨 등을 말한다. 프리스트레스 도입시의 보에 대한 기둥이나 벽의 구속에 의해 생기는 응력도 2차 응력이라 한다.
이차 주입 (二次注入) secondary grout
큰 단면에 주입한 그라우트나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주입한 그라우트는 블리딩(bleeding)에 의해 단면 내부나 정착구 근방에 공극이 생기기 때문에 처음의 주입 종료후, 약 30분 ~ 2시간 후에 재주입을 하며, 블리딩에 의한 물을 추출하는 것. - bleeding, prestress
이차 처리 (二次處理) secondary treatment
배수의 생물학적 처리 프로세스에서 1차 처리로 제거할 수 없었던 비침전성의 부유물이나 용해성 유기물을 미생물의 대사 작용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생물 처리를 말한다.
이차 체결 (二次締結) secondary fastening
고력 볼트의 체결에서 체결력을 2단계로 가할 때 그 대부분을 1차 체결, 나머지를 2차 체결이라 한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공정안전팀
051-888-6051
최근 업데이트
2024-02-20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