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83/1424)
- 고생층 (古生層) Paleozoic
- 고생층의 분포는 넓으며, 각지에 산지를 구성하고 있다. 시대가 오래되었기 때문에 고결도(固結度)가 높으나 때로는 풍화하여 연약 암반으로 되어 있다. 점판암(粘板岩), 천매암(千枚岩), 경사암(硬砂岩), 처트(chert), 석회암(石灰岩) 등이 많다. 고생대의 길이는 5억 8천만년 전으로부터 2억 3천만년전으로 알려져 있다.
- 고성능 감수제1) (高性能減水劑), 유동화제2) (流動化劑) superplasticizer
- (1) 일반의 감수제보다도 분산 효과가 뛰어난 감수제. 고강도용 감수제 및 유동화제는 이에 포함된다. 이 개발로 콘크리트의 고품질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2) 혼합제의 하나. 미리 비빈 콘크리트에 첨가하여 이것을 교반함으로써 더 부드럽게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 고속 궤도 시험차 (高速軌道試驗車) high speed track inspection car
- 열차에 견인 되어 고속 중행하면서 실제로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의 궤도의 이상(동적 이상)을 연속적으로 측정 기록하는 차량.
- 고속 도로 (高速道路) expressway
- 자동차 전용 도로 중 중앙 분리대를 갖는 왕복 분리 도로. 고속 자동차 국도와 도시 고속 도로가 있다. motorway
- 고속 디지털 전송 서비스 (高速-傳送-) high-speed digital transmission service
- 광섬유를 사용한 디지털 회선에 의한 고속·대용량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
- 고속 살수 여상법 (高速撒水濾床法) highrate filtration
- 고율 여과법이라고도 한다. 종래의 살수 여과법보다 능률을 높이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것은 여과된 물의 일부를 상류로 반송하여 미여과된 하수를 묽게 하고 이것을 비교적 작은 면적의 여상(濾床)으로 연속적으로 다량 살포하는 방법으로, 여과의 원리는 살수 여과와 동일하다. 특징은 살포 용량이 크기 때문에 여재(濾材)의 표면에 형성되는 여막(濾膜)이 물에 의해 이탈됨으로써 여막이 두꺼워지지 않으며 여재의 눈 막힘, 표면 체수(滯水)가 일어나지 않는다.
- 고속 에어레이션 침전지 (高速-沈澱池) high speed aeration settling basin
- 활성 오니법에 의한 처리 장치의 하나로, 침전부와 에어레이션부를 하나의 조(槽) 내에 둔 것. 고속 폭기 침전조라고도 한다.
- 고속 응집 침전지 (高速凝集沈殿池) high rate coagulation tank
- 약품 혼합, 응집, 플록(floc) 형성, 침전의 과정을 하나의 조(槽) 내에서 하는 장치로, 혼합과 플록 형성은 먼저 만들어진 플록의 존재하에서 행해지며, 플록 형성 시간이 짧고 또한 큰 플록이 형성됨으로써 침강 속도가 빨리지기 때문에 침전 효율이 좋다. 따라서 탱크의 용량이 작아도 되고 계획 정수량의 1.5 ~ 2.0 시간분의 용량이면 되기 때문에 용지 면적이 좁아도 된다. 특히 용지 취득이 어려운 대도시에서 많이 채용되는 경향이 있다. 기구면에
- 고속 이탈 유도로 (高速離脫誘道路) high speed exit taxiway
- 항공기의 활주로 정유 시간을 최소한으로 하고 가능한 한 활주로의 능력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설치하는 유도로.
- 고속 증식로 (高速增殖爐) fast breeder reactor
- 핵분열하지 않는 우라늄 238(238U)로부터의 고 속의 중성자가 부딪히면 원자 연료가 되는 플루토늄(239Pt)으로 변화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235U의 핵분열 연쇄 반응을 하면서 동시에 239Pt를 생산하는 원자로를 말한다. FBR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