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780/1424)
- 완화 곡선 (緩和曲線) transition curve
- 노선에 있어서 원곡선부와 직선부 사이에 설치되는 곡선. 차량이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갑자기 진입하면 원심력 때문에 위험이 생긴다. 그래서 곡률 반경을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직선과 원곡선을 연속적으로 잇는다. 클로소이드(clothoid). 3차 포물선. 렘니스케이트(lemniscate)등이 이용된다.
- 완화 공사 (緩和工事) transition work
- 도로의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원활하게 접속되도록 하는 공사. [1] 완화 곡선 구간에서 한다. 양면 물매에서 편물매로 서서히 전환한다. [2] 차량의 안전을 도모하며 주행 감각을 쾌적하게 한다.
- 완화 구간 (緩和區間) transition part
- 도로의 직선 부분에서 곡선부로 자동차가 원활하게 주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구간. 곡선 반경이 무한대(직선)에서 유한으로, 직선폭에서 곡선부의 확대 폭으로의 조절, 곡선부의 편물매와 직선부의 횡단 구배와의 조절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완화곡선
- 도로의 평면선 모양이 직선에서 곡선, 곡선에서 직선 또는 곡율이 다른 곡선끼리 접속되는 부분에 클로소이드(clothoid)곡선이나 3차 포물선 등의 완화구간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사고방지 및 쾌적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것인데 이 완화구간의 곡선을 완화곡선이라 한다.
- 완화곡선
- 열차가 직선으로부터 원곡선에 진입할 때 곡률이 0에서 일정치로 갑자기 변화하므로 급격한 횡력을 받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직선과 원곡선 사이에 넣는 곡률을 차례로 변화시키기 위한 곡선을 말한다. 철도에서는 3차 포물선 또는 정현(sine) 반파장의 체감곡선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 완화곡선의 길이
- 완화곡선의 길이는 1) 차륜의 고정축거로 인한 3점 지지에 따른 차륜의 부상량을 일정치 이하로 억제한다. 2)캔트의 시간변화량을 일정치이하로 억제한다 3) 고속열차에 의한 캔트이 부족량을 일정치이하로 억제한다. 이 3점을 고려해서 아래 방식에 의해 구한 값 가운데 최대치 이상으로 한다. 1선급 1300 C, 2선급 1000 C, 3선급 700 C, 4선급 600 C (C캔트량)
- 왕겨 재 rice husk ash
- 실리카를 많이 포함하여 콘크리트용 혼합재로서 이용된다.
- 왕복 공기 압축기 (往復空氣壓縮機) reciprocating compressor
-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
- 왕복 기관 (往復機關) reciprocating engine
- 실린더 내를 피스톤이 왕복하는 기관.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크랭크 기구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왕복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가 보통이다.
- 왕복 압축기 (往復壓縮機) reciprocating compressure
- 실린더 내에 있는 피스톤에 왕복 운동을 부여하고 이것에 의하여 실린더에 흡입된 기체를 압축. 토출하는 기계를 말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