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754/1424)
- 염소 살균 (鹽素殺菌) chlorine sterilization
- 염소에 의한 상수 또는 하수의 살균을 말한다. 하수에서는 방류 전에 한다. 상수도에서는 염소량은 약 100만분의 2정도이며, 염소의 주입에는 진공식 및 습식이 있다. 소량의 음료수 등의 살균에 표백분을 사용하는 것도 염소 살균이다.
- 염소 소독 (鹽素消毒) disinfection by chlorine
- 염소 소독제를 물에 넣어 병원균을 사멸시키는 것. 특히 급속히 여과한 물에는 약간의 세균류가 제거되지 않고 잔류하기 때문에 반드시 여과수를 소독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염소는 소독 효과를 길게 지속시키는 성질이 있으므로 만약 송배 급수 도중 약간의 오염을 받은 경우라도 수중에 염소가 조금이라도 있으면 위험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소독에는 염소가 주로 사용된다.
- 염소 소독법 (鹽素消毒法), 염소 처리 (鹽素處理) chlorination
- 소규모 시설이나 가정에서 샘물을 사용하는 경우 표백분을 물에 녹여 그 포화 용액을 사용하지만 규모가 커지면 염소 가스를 사용한다. 주입 방법은 염소 가스를 물에 직접 주입하는 건식과 염소 가스를 소량의 물에 녹인 염소수를 주입하는 습식이 있는데 습식이 많이 이용된다. 염소를 물에 가하면 Cℓ2 + H2O - HCℓO + HCℓ 2HCℓO - O2 + 2HCℓ 로 되는데, O2<
- 염소 요구량 (鹽素要求量) chlorine demand
- 처리수 등에 주입한 염소가 반응 소요 시간 후에 잔류 염소를 검출하게 되기까지에 필요로 하는 염소량을 말한다. 살균과 유기물 등이 산화에 필요한 염소량과의 합이 된다.
- 염소 이온 (鹽素-) chloride ion
- 수중에 용존(溶存)하고 있는 염화물 중의 염소분을 말한다. 생활 배수의 염소 이온의 대부분은 배설물 중의 염화 나트륨에 유래하므로 염소 이온 농도는 오염의 지표로 한다든지, 배수 조성의 추정에 도움이 된다.
- 염소 처리 (鹽素處理) chlorine treatment
- chlorination
- 염소주입
- 염소는 일반적으로 여과처리한 후에 살균의 목적으로 급수관 끝에 유교염소가 잔류하게 물에 가하던가 원수중에 다량으로 감소를 소비하는 물질이 있던가 또는 여과지를 생물학적으로 현저하게 오염하는 원수에 대해서는 취수시 혹은 착수시에 첨가한다.
- 염수 분무 시험 (鹽水噴霧試驗) salt spray test
- 염수를 분무시킨 시험조 내에 시험편을 두고 내식성을 살피는 시험.
- 염심 (焰心) flame core
- 가스 용접에서 가스 불꽃의 노즐 바로 앞에서 생기는 백광(白光)의 원뿔형인 부분. 노즐이란 토치(管) 끝에 붙여지는, 불꽃이 나오는 부분을 말한다.
- 염해 (鹽害) chloride-induced corrosion
- [1] 대기 중의 염화물 이온(Cℓ-)의 침입에 의해 야기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중의 철근의 부식. [2] 소금물의 침입이나 바닷바람의 염분 등에 의한 시설이나 농작물 등의 피해. 건축물에서는 강재의 부식이나 송전선의 단락 등이 있다. salt polution, salt damage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