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734/1424)
- 여유고
- 댐이나 호안 등의 높이 가운데 계획 높이 수면에서 둑꼭대기까지에 설치하는 여분의 높이를 말한다. 갑자기 큰 홍수나 압밀침하 등에 대비하여 여유를 생각한 부분 「하천관리 시설 등의 구조령」 및 「공작물 설치허가 기준안」에 정해져 있다.
- 여재 (餘材), 잉여 부재 (剩餘部材) redundant member
- 정정(靜定) 구조의 뼈대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은 여분이 되는 부재.
- 여점 (與點) given point
- 평면 위치 또는 높이가 주어져 있는 기지의 점.
- 여진 (餘震) afger shock
- 어떤 특정한 지역에 어떤 특정한 기간에 발생하는 지진의 무리 중 치대가 되는 것 다음에 발생하는 지진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최대가 되는 지진을 본진, 그 전에 발생하는 지진을 전진(前震)이라 한다. 여진은 본진보다 현저하게 작은 것이 보통이다. 또 단위 시간 내에 발생하는 여진의 수는 본진 후의 경과 시간에 대하여 쌍곡선적 관계로 감소한다.
- 여행 시간 (旅行時間) travel time
- 정지 시간까지 포함된 여행에 요하는 시간.
- 역 T형 옹벽 (逆-形擁壁) cantilever retaining wall
- 단면 형상이 T자를 거꾸로 한 모양의 옹벽.
- 역 버니어 (逆 -) retrograde vernier
- 주척의 (n + 1) 눈금을 버니어로 n등분한 것. 버니어 눈금은 주척(主尺)과 역방향으로 매겨져 있다.
- 역 사이펀 (逆-) inverted siphon
- 수도관이나 배수관 등이 철도나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에 그것들의 밑을 빠져 지나가는 공법. 구조는 일반적으로 흄관 등이 사용되며, 침하가 되지 않도록 기초를 충분히 견고하게 한다.
- 역 사이펀(inverted siphon)
- 관로가 큰 장해물을 피해서 지나갈 때에 쓰인다. 역수관을 수도교와 비교하면 사고발견이 곤란하고 가령 누수를 알면서도 처리하기가 어려우며 더구나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때문에 가급적이면 피해야만 한다.
- 역 아치 (逆-) inversed arch
- 아치의 상하를 역전하여 수평면을 위로 해서 호의 부분을 인장재로서 사용하는 구조 요소. 교량이나 거푸집 지지보에 사용한다. 아치와 서스펜션의 관계를 설명하는 용어로 쓰인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