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732/1424)
- 여과 (濾過) filtration
- 물리적 처리법의 하나. 여재(濾材)에 물을 통하여 수중에 현탁하고 있는 부유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상하수 처리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이며, 여재는 모래를 쓰는 예가 많다. - fuspended solid
- 여과 속도 (濾過速度) rate of filtration
- 물이 여과지의 모래 속을 통과하는 속도. 여과 속도 1일 여과량 / 여과지 면적 Q/a(m3/day). 1일에 통과하는 미터로 표시한다.
- 여과막 (濾過膜) filter film
- 원수를 여과할 때 모래의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 완속 여과에서는 수조류(水藻類) 등의 자연 피막, 급속 여과에서는 황산 반토의 투입에 의한 수산화 알루미늄 피막으로서 세균류의 90%를 제거한다.
- 여과막 여과층
- 과층의 표면 가까이가 막혀서 나타나는 불투수층을 말한다. 연속 지중벽공법에서는 안정액이 지층에 침투하는 과정인데 이 여과막(filter cake)이라고도 한다.)을 형성시켜서 안정액의 일수와 공벽의 붕괴를 방지한다.
- 여과수 역류 장치 (濾過水逆流裝置) return back of filtration water
- 상수도의 급속 여과지에서 여과사를 세정하기 위하여 여과수를 역으로 반송하는 장치. 모래층의 표면이 교란되지 않고 모래가 유실되지 않도록 역류 속도에 주의한다.
- 여과재 (濾過材) filter material
- 정수를 위해 여과에 사용되는 재료. 상부에 모래, 하부에 자갈을 사용하며 입도별로 층을 만든다.
- 여과처리
- 정수의 기본처리이다. 완속 여과와 급속 여과로 나눈다. 완속 여과는 단독으로 할 수 있으나 급속 여과의 경우는 반드시 약품으로 앙금시킨 후에 이어서 앙금되지 않는 플록을 여과한다.
- 여굴
- (1) 케이슨공법에 있어서 칼날 아래 부분을 파는 것을 여굴이라 한다. 여굴은 침하에 필요한 한도를 정하는데 50cm이상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2) 터널을 굴착할 경우에 쉬일드(shield)등의 공법은 다르다고 해도 설계단면 이상으로 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설계단면 이상파지는 것을 여굴이라 한다. 여굴의 양은 질이나 굴착방식 또는 지보공방식 등에 의해 다르다.
- 여굴 (餘掘) outbreak
- 터널이나 뉴매틱 케이슨의 굴착에서 여분으로 굴착한 부분. 시공상 여굴이 많아지지 않도록 충분히 주의한다.
- 여굴, 여폭, 여쇄
- 준설에 있어서 소정의 수심이나 규정한 단면으로 마무리를 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여유를 보아서 굴착하지 않으면 안된다. 수직의 여유를 여굴이라 하고 수평방향을 여폭이라 한다. 여굴에 대한 두께는 준설선의 종류나 수심 또는 날씨에 의해서 달라지나 대체로 0.3m∼0.6m 정도이다. 여쇄는 쇄암의 여유를 보아서 하는데 대체적인 표준으로서 암반은 0.8m이고, 경토반은 0.6m 정도이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