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703/1424)
- 압착 케이블(壓着-) binding cable
- 최종 침설함과 단(端) 블록을 접하는가 가설 케이블. 최종 침설함과 단 블록은 드라이 독에서 이 케이블에 의해 수압에 걸맞는 긴장력으로 결합된다.
- 압착력 (壓着力) binding post-tensioning force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압착 접합하는 경우의 줄눈부에 도입되는 압착력.
- 압축 (壓縮) compression
- 외력을 가하여 물체의 용적을 축소하는 것.
- 압축 강도 (壓軸强度) [콘크리트의] compressive strength
- 큰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주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콘크리트의 가장 중요한 성질의 하나이다.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구조 부재의 콘크리트를 만듬과 동시에 채취한 원기둥 공시체를 이용하며, 28일간 표준 양생(20도씨 전후의 수중 또는 습도 100%에 가까운 공기 속)한 후의 강도를 기준으로 한다.
- 압축 계수 (壓縮係數) coefficient of compressibility
- 압밀 시험에서 하중의 증가에 대한 간극비 감소의 비율. 단위는 cm2/g이다. 시료에 가해져 있던 압력이 P1에서 P2로 되었을 때 간극비도 e1에서 e2로 감소되었다고 하면 압축 계수 av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압축 균열(壓縮龜裂) compression crash
- 사태 혹은 붕괴시에 압축력이 생겨서 발생하는 균열. 주로 활동한 지반의 말단부에 발생하며, 지반의 미끄럼 방향과 평행 혹은 사교(斜交)하고 있다.
- 압축 변형 (壓縮變形) compressive deformation
- 압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물체에 생기는 수축량(길이). compression set, compressive strain
- 압축 변형 (壓軸變形) compressive strain
- 압축력에 의해서 생기는 변형. 압축 변형을 Δℓ, 재료의 원 길이를 l, 압축력을 P, 단면적을 A, 영 계수를 E로 하면 다음의 관계가 있다. Δℓ Pℓ/AE 또한 Δℓ/ℓ P /A × E 즉 재료의 단위 길이당의 변형을 압축 변형도라 한다. compression set
- 압축 시험 (壓縮試驗) compression test
- 재료의 압축 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정해진 형의 시험관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시험. 이 시험의 대상은 목재. 석재. 콘크리트. 벽돌 등의 압축을 맏는 재료에 대해 실시한다.
- 압축 응력 (壓縮應力) compressivie stress
- [1]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축력에 의해 부재 내부에 생기는 힘. 즉 압축에 의한 응력. [2] 압축 응력도를 줄여서 압축 응력이라고도 한다. 압축 하중 P의 작용하는 부재(단면적 A)의 압축 응력은 다음과 같이 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