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699/1424)
- 압력 조절기 (壓力調節器) pressure regulator
- 수차의 케이싱에 설치되어 조속기와 연결되어 있고 부하가 급감했을 때 그 밸브가 열려 수압관으로부터 물이 방출되고 수구 폐쇄의 동작이 종료된 후 천천히 밸브를 잠그로 수압관 내의 수격 작용을 경감시키는 장치.
- 압력관
- 송배수관처럼 수압이 있는 물을 통과하는 관을 말하는데 여기에 비해서 단순한 유수에 스이는 관을 보통관이라 한다. 압력관은 내압과 외압에 견디는 것이 되어야 한다.
- 압력관 (壓力管) pressure pipe
- 송. 배수관처럼 수압이 있는 물을 통과시키는 관. 이에 대해 단순한 유수(流水)에 이용되는 관을 보통관이라 한다. 압력관은 외압과 내압 양쪽에 견뎌야만 한다.
- 압력선 (壓力線) pressure line
- 압력선이 핵내를 통과하면 아치의 단면에는 인장 응력도가 일어나지 않는다.
- 압력식 급속 여과조 (壓力式急速濾過槽) pressure filter-tank
- 수압하에서 여과를 하는 형식의 조(槽). 여과 수두는 여과 전후의 수압차로 얻어진다. 1조의 여과 능력은 약 2,000m3/일 이하. 강판제 밀폐조로 압력관 도중에 설치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받지 않는 이점도 있지만 조 내부의 상태를 감시할수 없어 조작에는 불안한 점도 있다.
- 압력식 하수도 (壓力式下水道) pressure sewer system
- 하수의 이송 방식의 하나로, 종래의 자연 유하와는 달리 펌프 압송에 의해 하수를 이송하는 방식. 자연 유하에서는 관거(管渠)의 매설 깊이가 커지는 평탄한 지형에 적합하며, 주로 소규모 하수도에서 쓰인다. - sewage, small scale sewage system
- 압력차계 (壓力差計) pressure gauge
- 기체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계기로, 가장 간단한 것은 U자관 압력계, 미세한 차를 측정하기 위해 경사 미압계 등이 널리 쓰인다. differential manometer
- 압렬 시험(壓裂試驗) Brazilian test
- 암석, 콘크리트, 찰흙 등의 인장 강도를 구하는 시험으로, 원주 공시체(圓柱供試體)의 축을 수평으로 두고, 상하로 압축하여 파괴한다. split test
- 압밀
- 흙낟알의 공극이 포화상태에 있는 점성토에 하중이 실려 있을 경우, 투수가 어려운데서 하중에 대항하는 과잉 공극 수압이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과잉공극수압을 지진 물이 서서히 배출되어서 흙낟알의 기본(골격)구조가 변화하여 점성토가 압축되어버리는 현상을 압밀이라고 한다.
- 압밀 (壓密) consolidation
- 투수성이 작은 포화한 점토질 토층에 하중에 의한 응력이 작용했을 경우 하중의 대부분이 간극수로 부담되고, 이 간극수에 주위의 간극수보다 높은 수압을 일으킨다. 이에 의해 서서히 간극수가 유동하여 점토층의 흙입자로 하중이 부담되기까지 점토층이 수축하는 현상.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