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614/1424)
- 수축 한계 (收縮限界) shrinkage limit
- 함수비가 그 이상 작아져도 흙의 체적이 감소하지 않고, 함수비가 그 이상 커지면 체적이 증가하는 한계의 함수비.
- 수축 한계 (收縮限界), 해면 (海面), 소음 레벨 (騷音-) SL
- (1) shrinkage limit (2) sea level (3) sound level
- 수축균열
- 콘크리트가 수축하면 인장응력을 일으켜 균열이 발생한다. 이같은 균열을 말하는데 찰쌓기(wet masonry)의 호안 등에서는 수축균열의 발생을 막기 위해 대개 15∼20m의 간격으로 두께 10∼20mm의 줄눈을 만든다.
- 수축비 (收縮比) shrinkage ratio
- 수축 한계 이상의 함수량에 있어서 체적 변화의 비율과 그것에 대응하는 함수비 변화량과의 비. 이 값은 어느 정도 건조한 흙의 겉보기 밀도를 나타낸다.
- 수축줄눈
- 콘크리트의 초기수축을 흡수하는 줄눈을 말한다.
- 수축줄눈
- 콘크리트의 포장 등이 기온에 따라 신축하는 것을 줄눈이라 한다. 신축을 흡수하는 보드와 포장판의 힘을 절단하는 더우엘보우로 이루어진다.
- 수축차 (收縮差) differential shrinkage
- 콘크리트 합성 거더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거더와 상판 콘크리트 재령의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수축차.
- 수취 검사(受取檢査) acceptance inspection
- 제품 또는 부재 등을 받아들여도 좋은지 어떤지를 판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
- 수치 지적 (數値地籍) numerical cadaster
- 지적 측량에 있어서 경계점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 지도에 표시하는 경우 제도 오차나 판독 오차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땅 값이 높은 시가지 등에 적합하다.
- 수치 지형 모델 (數値地形-) digital terrain model
- 지형의 위치 및 높이의 수치를 적당한 밀도로 배치하여 컴퓨터에 기억시키고 이 수치에 의해 표현되는 지형. 이 모델의 수치를 사용하면 조감도, 경관도, 면적 계산, 토공량 계산, 노선의 비료 설계 등을 작도하거나 계산할 수 있다. 그림에 일례가 나와 있다. DTM - digital mapping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