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593/1424)
- 쇄정 (鎖錠) interlock
- 전철기(轉轍機)나 신호기를 취급할 수 없도록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것.
- 쇄파
- 물결이 보다 얕은 해역에 들어와 물결 높이가 수심과 거의 같을 정도가 되면 물결은 이미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끝내는 부서진다. 이 현상을 쇄파라 한다. 쇄파에서 무너진 물결이 구조물에 작용할 때 대개는 그 구조물에 가장 큰 물결 힘이 생긴다. 쇄파는 파정의 물 입자속도가 그때의 물결속도에 비슷했을 때 일어난다고 이론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그리고 항구에서 멀리 떨어진 물위의 물결높이. 주기적으로 쇄파가 일어나는 수심. 파도높이 또는 일
- 쇄파 (碎波) breaking wave
- 파도에 집적된 에너지의 격렬한 발산 현상이 쇄파이다. 파도가 얕은 바다에 가까워지면 주기는 변하지 않으나 파장 L은 짧아지고, 파고 H는 높아지며 파형이 대칭형으로부터 점차 앞쪽이 급경사로 되어 부서진다. 쇄파의 파고는 충파(沖波)의 파고보다 높으며 또한 그 쇄파의 수심은 충파의 파고, 파형 물매에 따라 변화하지만 보통의 해안에서는 H/L 0.01 ~ 0.08 이며 1.5 ~ 2.0H의 수심으로 파쇄한다.
- 쇄파 (碎波), 전류 제한기 (電流制限器), 브레이커 breaker
- (1) 충파(沖波)가 얕은 해안에 가까워지면 파고가 높아져 파장과 파의 속도가 감소하며, 수면 부근의 물 분자의 운동 속도가 파의 속도와 거의 같아지게 된다. 이 때, 파의 꼭대기에 백파(白波)가 나타나며 마침내 파는 부서지는데 이를 말한다. (2) 정해진 크지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개폐기. 브레이커라고도 한다. (3) 치즐의 머리부에 기계식 왕복 해머로 연속적으로 타격력을 가해 암석, 콘크리트 등을 파쇄하도록 한 공
- 쇄파 방파제 (碎波防波堤) breaking wave levee
- 파가 얕은 바다에 가까워 오면 주기는 변하지 않으나 파장이 짧아지며, 파고가 증가하고 파형은 대칭적인 형에서 점차 앞면이 급경사로 되어 부서지며 구조물이나 해안에 큰 충격을 준다. 이것을 흡수하기 위해 제체로 파를 부수어 파의 에너지를 소멸하도록 한 것. 사석 방파제가 이것이며 사석 대신에 최근에는 테트라포드 등의 효율이 좋은 것을 사용한다.
- 쇠, 철(鐵) iron
- 지구상에 널리 다량으로 존재하는 원소의 하나. 순수한 철로서 존재하는 것은 드물고, 토양, 광물, 암석 중에 화합물로서 포함된다. 주요 광석은 자철광, 적철광, 갈철광, 사철(砂鐵) 등. 건축 용재에는 철과 탄소의 합금 즉 강철로서 사용된다. Fe, 융점 1,530℃, 비중 7.86, 선팽창 계수 1.15 × 10-5deg-1(0 ~ 100℃), 열전도율 36 ~ 54kcal/m. h℃.
- 쇠망치, 쇠메, 헤머 hammer
- (1) 못을 박는 데 사용하는 머리부분이 강철제인 망치. 자루는 주로 목제이나 쇠인 경우도 있다. (2) 석공용, 목공용이 있다. 석공용 쇠메는 자루의 길이 약 60cm, 끝의 머리 길이 약 30 ~ 36cm. 대소를 한 조로 하고, 큰 것은 약 9kg, 작은 것은 약 5.5kg. 돌나누기, 메다듬에 사용한다. 목공용 쇠메는 머리가 원기둥 모양으로, 한 끝은 평탄하고 다른 끝은 가운데가 조금 높으며, 대중소의 3개가 있다. 대(大)는 약 0
- 쇠톱 hacksaw
- 손으로 켜는 금속 재료 절단용 톱.
- 쇼 드로잉 show drawing
- 도시 개발이나 택지 조성의 기본 계획도에서 구조물, 건물, 수목, 식재(植栽)에 음영이나 색채를 넣어 현실감있는 환경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 쇼어 경도 (-硬度) Shore hardness
- 쇼어 경도 시험기로 측정되는 재료의 경도를 말한다. 시료의 시험면에 대하여 다이아몬드침을 부착한 추를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켜 그 반동 높이로서 경도를 결정한다. 금속 재료. 고무. 수지 등의 경도를 표시하는 방법.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