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582/1424)
- 소성 지수 (塑性指數) plasticity index
- 흙이 소성을 보여주는 함수비의 범위를 가리키는 수치 IP를 소성 지수(PI)라 한다. IPωL(액성 한계)-ωP(소성 한계) IP는 점토 함유량에 거의 비례하며 세립토를 분류하는 지표로도 쓰인다. - plasticity chart, plastic limit, liquid limit
- 소성 파괴 (塑性破壞) plastic failure
- 구조 재료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 응력에 대해 변형이 커져 파괴되는 상태. 소성 설계의 대상이 된다.
- 소성 한계 (塑性限界) plastic limit
- 젖빛 유리판 위에서 시료를 손바닥으로 가볍게 굴려서 지름 3mm의 끈으로 만들고 계속 굴리면 수분이 증발하여 끈이 절단된다. 이 직전의 함수비 ωP를 소성 한계(PL)라 한다.
- 소성 해석(塑性解析) plastictity analysis
- 비선형 해석의 하나로, 재료의 응력·변형 관계를 강소성체로 가정한 해석 수법.
- 소성 흐름 (塑性-) plastic flow
- 소성역에 있으며, 응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변형이 증대되는 현상. creep
- 소성 힌지 (塑性-) plastic hinge
- 굽힘을 받는 보에 있어서 그 재료의 탄성 한계 이상으로 하중을 증가시키면 보의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터 소성역(塑性域)에 들어가며, 마침내 보의 단면 전역이 소성역에 들어간다. 즉, 중립축의 한쪽은 소성 압축되고 다른 쪽은 소성 인장을 받는다. 이 상태에서 보는 휨 모멘트가 일정한 값을 유지한 상태 그대로 흡사 힌지처럼 회축(回軸)을 계속한다. 이 상태의 휨 모멘트를 전소성(全塑性) 모멘트라 하며, 이 전소성 모멘트를 가진 단면의 역학적 상태를 소성
- 소성도 (塑性圖) plasticity chart
- 흙의 액성 한계를 가로축, 소성 지수를 체로축으로 한 그림으로, 세립토(細粒土)의 분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소성지수(PI)
- 흙의 액성한계 ωL과 소성한계 ωP와의 차이를 소성지수라 한다. 사질토의 소성지수는 0에 가깝고 점성토에서는 점토의 함유량의 대소에 따라 소성지수가 바뀌며, 소성상태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흙을 분류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어 있다.
- 소성한계
- 세립토에서는 토립자간에 적량의 물이 있으면, 물의 표면장력으로서 서로 골동은 해도 분리하기가 어렵고 쉽사리 모양을 바꿀수 있으나 함수비가 감소함에 따라 단단하고 여린 반고체의 성질과 모양을 나타내게 된다. 이 때의 함수비 wP(%)를 소성한계라 한다.
- 소성한계시험
- JIS A1206에 정해져 있다. 알맞은 온도의 물을 함유한 흙덩이를 젖빛 유리(frosted glass) 위에서 손으로 누르는 것처럼 해서 직경이 약 3m/m의 끈 모양으로 굴리는 작업을 되풀이 하면 흙은 끈모양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 때의 함수비를 재서 소성한계로 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