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581/1424)
- 소석회 (消石灰) hydrated lime
- 생석회(산화칼슘)에 물을 작용시켜서 얻어지는 수산화 칼슘, 백색 분말로, 생석회와 마찬가지로 공기 중의 탄산 가스를 흡수하여 탄산 칼슘이 된다. 노반 등의 안정 처리재로 사용된다. slaked lime
- 소선 (素線) yarn socketr
- 경강의 선재. 와이어 로프의 구성재이다. 탄소 0.55 ~ 0.65%의 탄소강으로, 도금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 소성 (塑性) plasticity
- 재료가 외부에서 가해진 하중에 의해 변형을 하고 하중을 제거했을 때, 원래로 되돌아가지 않는 변형이 남는 성질. 이 변형을 소성 변형이라 하며 영구 변형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가진 것을 소성체라 한다.
- 소성 단면 계수 (塑性斷面係數) plastic section modulus
- 소성 설계에 있어서 극한 상태에 있는 보를 생각하면 중립축으로부터 한쪽 절반은 소성 압축되고, 다른쪽 절반은 소성 인장을 받는다. 이 단계에서의 모멘트를 전(全)소성 모멘트 Mp 라하며, 그 때의 연응력(緣應力 : extreme fiber stress) σY와의 사이에 MpσYZ인 관계가 있다. 여기서 z를 소성 단면 계수라 한다. 탄성 한계 내에서의 단면 계수를 W라
- 소성 변형 (塑性變形) plastic deformation
- 구조재에 어느 한도 이상의 힘을 가하면 힘을 빼도 변형은 뒤에 남는다. 이 변형을 잔류 변형이라 하고 재료에 따라서는 그 일부는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회복되지만 영구히 잔류되어 버리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을 소성 변형 또는 영구 변형이라 한다.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회복되는 변형은 일반적으로 적기 때문에 잔류 변형과 소성 변형을 동의어로서 사용하고 있는 일도 많다. 단위 장당의 변형을 휨이라 하고, 잔류 변형. 소성 변형 및 영구 변형에 상응하
- 소성 변형 (塑性變形) plastic strain
-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것.
- 소성 변형 능력 (塑性變形能力) plastic deformable ability
- 구조물이 힘을 받아서 항복하고, 힘과 변형이 비례하지 않게 되어도 내력이 갑자기 감소하는 일 없이 소성역에서 변형을 계속할 수 있는 능력. 에너지 흡수를 위해 필요한 성질이다.
- 소성 설계법 (塑性設計法) limit design method
- 탄성 허용 응력도 설계법으로, 단면이 항복하여 골조 속에 충분한 수의 소성 힌지가 생겨서 골조가 붕괴 메커니즘에 이르렀을 때의 하중을 산출하여 외력과 비교해서 안전성을 검정하는 설계법. plastic design method
- 소성 재료 (塑性材料) plastic material
- 외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이 생기고 외력을 제거하여도 원상으로 돌아가지 않는 변형, 즉 영구 변형이 생기는 성질을 갖는 재료. 점토. 플라스틱. 동. 알루미늄 등이 이에 속한다.
- 소성 조건 (塑性條件) condition of plasticity
- 구조물의 소성 해석에서 모든 부위에서 응력이 항복 응력을 넘지 않는 조건.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