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57/1424)
- 건조물의 변상
- 건조물의 파손, 부식, 풍화, 마모, 누수, 침하, 경사, 이동, 기초지반의 선굴, 이상진동 등이 열차의 운전에 지장을 주거나 또는 여객의 공중안전에 지장을 미치게 할 우려가 있는 건조물의 상태를 말한다.
- 건조밀도
- 흙을 완전히 건조시켰을 때의 무게를 흙의 단위 부피로 나눈 값이다. γd ωs/V γt/(1+(ω/100)) γd : 건조밀도(g/cm), ω : 함수비(%), V : 부피(㎠), γt : 습윤밀도(g/㎤), 건조밀도는 흙을 다지는 정도를 구할 때의 중요한 수치이며 노체, 노반 노상에 대한 다지는 정도의 관리에 사용되고 있다.
- 건조밀도
- 흙의 절대건조 상태의 무게를 겉보기의 부피로 나눈 값이다. 흙다짐 등의 지표로서 이용된다. 함수비를 바꾼 각종의 시료를 일정한 방법으로 다질 때 최대의 건조밀도를 주는 함수비를 최적함수비라고 한다.
- 건조수축(shrinkage)
- 콘크리트는 습기를 흡수하면 팽창하고 건조하면 수축한다. 이와 같이 하중의 재하없이 습기가 증발함에 따라 콘크리트가 수축하는 현상
- 건축 부지 (建築敷地) building plot
- 건축이 차지하는 토지. buiding site
- 건축 측량 (建築測量) architectural surveying
- 건축물의 계획. 시공에 관한 측량. 대지(垈地)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한 조사측량과 설계를 현장으로 옮기는 측량으로 나눈다.
- 건축 한계 (建築限界) construction gauge
- 차량 운전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궤도 또는 도로상에 일정한 공간을 만들고 그 한계 내에는 구조물이 들어설 수 없도록 한 제한.
- 건축 한계 (建築限界) track clearance
- 열차 또는 차량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궤도상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한계를 말한다. 철도 건설 규정에서 각종 건조물은 이 한계 내에서 만들어서는 안된다고 제한하고 있다.
- 건축한계
- 열차의 통행을 지장없이 수행하기 위해서 선로의 상하좌우방향으로 이 안에는 모든 건조물을 설치해서는 안된다는 한계이다. 크기는 통행하는 차량의 크기에 여유 공간을 둔 것으로서 일례를 들면 아래 그림과 같다. 곡선부에서는 열차가 선로중심에서 벗어나 주행하므로 곡선 반지름에 따라서 건축한계를 넓힐 필요가 있다.
- 건폐율 (建蔽率) building coverage
- 건축면적의 부지 면적에 대한 비율. - floor space index, coverage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