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552/1424)
- 생물 처리 (生物處理) biological process
- 하수 처리를 살수 여상법이나 활성 오니법 등과 같이 하수 속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는 방법. 상수도의 급속 여과법 등의 기계 화학 처리에 이용된다. - mechanical chemical process
- 생물 화학적 분해 (生物化學的分解) biochemical resolution
- 하수 처리 수법의 하나. 미생물군의 구실을 활용하여 유기물을 안정화, 또는 분해하여 처리하는 것. 호기성(好氣性) 처리, 혐기성(嫌氣性) 처리가 있다.
- 생물 화학적 산소 요구량 (生物化學的酸素要求量) biochemical oxygen demand
- 부패성 유기물이 생물 화학적으로 산화하여 안정화하기까지 흡수하는 산소량을 말한다. 약자 BOD. 단위 ppm(g/m3). 매설물의 BOD 15000ppm 이라고 하면 생배설물 1m3가 안정화하는 데 15000g의 O2를 흡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먼지의 BOD는 5~10만 ppm이라고 한다. BOD
- 생물막법 (生物膜法) biofilm process
- 담체(擔體) 표면에 필름 모양으로 부착한 미생물에 의해 배수 중의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는 방식. 담체의 형상, 충전 방법의 차이에 따라 접촉 폭기법(接觸曝氣法), 회전 원판 접촉법 등이 있다. 담체의 소재로는 판상(板狀) 플라스틱, 섬유상 플라스틱, 자갈 등이 있다.
- 생물막법 (生物膜法) biological film process
- 배수의 생물학적 처리법의 하나. 생물 지지체의 표면에 부착 생성한 생물막에 오수를 접촉시켜서 정화하는 방법.
- 생물상 (生物相) biota
- 어느 지역 또는 지리적인 구역에 볼 수 있는 생물의 전 종류를 말한다.
- 생물학적 하수 처리 (生物學的下水處理)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 중의 유기물을 분해.제거하는 처리 방식. 이용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호기성(好氣性) 처리와 혐기성(嫌氣性) 처리로 대별된다.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 Bio-chemical Oxygen Demand)
- 배수중의 호기성 미생물이 일정한 시간 안에 유기물을 분해하여 무기물로 변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산소량이다. 단위는 ppm로서 환경보전법에 규제된 값은 160ppm(일간 평균 120ppm이하) 이다.
- 생브낭의 비틀림 Saint Venant's torsion
- 외력에 의한 비틀림 모멘트와 균형을 이루는 단면의 비틀림 모멘트가 MT GJT . dψ / dχ 로 표시되며, 도중에 비틀림 하중이 없어지면 부재의 단면형, MT 및 비틀림률 dψ/dx가 부재 길이에 따라서 일정하다. 따라서 부재 길이 방향의 직응력(直應力)이 존재하지 않는 비틀림을 생브낭의 비틀림이라 한다.
- 생산 관리 (生産管理) production control
- 자재의 공장 가동도 포함하여 현장의 작업 공정의 흐름을 코스트, 공기, 품질 등의 시점에서 관리하는 것. production management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