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533/1424)
- 살수 양생 (撒水養生) water spray curing
- 콘크리트 타설 후의 초기 양생에 쓰인다. 특히 여름철에 표면으로부터 수분의 급격한 증발의 염려가 있을 때에는 살수하고 시트로 덮는 등의 방법을쓴다.
- 살수 여상 (撒水濾床) trickling filtration bed
- 하수를 살포하는 방법에 따라 형상은 다르지만 원형 또는 직4각형이 많다. 때로는 만수 상태에서 약액을 첨가해 해충 등을 사멸시키기 위하여 만수할 수 있게 한다. 바닥은 매끈하게 다듬질한 철근 콘크리트로 하고 집수구(集水口)로 향해 1/100 ~ 1/200의 경사를 붙인다. 집수구는 환기에도 도움이 되도록 크게 한다. 바닥 위에 직접 여재(濾材)를 놓지 않고 예를 들면, 여상용 블록을 설치하고 그 위에 화강암, 안산암 등의 쇄석을 깐다. 25
- 살수 여상법 (撒水濾床法) trickling filtration system
- 하수를 25 ~ 60mm 정도의 쇄석을 깐 표면에 뿌려서 여과하는 방법. 상수(上水)에서는 여재(濾材)의 물리적인 효과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나 하수에서는 생물 화학적인 작용에 의존한다. 여재의 표면에 생기는 여막(濾膜)에 살고 있는 호기성 세균 등의 미생물에 의해 하수 속의 유기물 등이 산화 또는 생물 화학적인 변화를 하여 변질하며, 그것이 여막에 흡착한다. 여막은 점차 두꺼워지는데 이렇게 되면 여재로부터 이탈하여 여과수 속으로 떨어져 나오기 때문
- 살수기(sprinkler)
- 살수기구
- 살수차 (撒水車) road-sprinkler
- 주행하면서 노면에 물을 뿌리는 장치를 갖춘 차량.
- 살포 (撒布) spreading
- 흙쌓기 위치 또는 토사장(土捨場)으로 토사를 운반하여 차례 차례 쌓아 올리는 공법. 보통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토사를 깔아 내면서 흙쌓기 한다.
- 살포 두께
- 살포두께는 도로를 구성하는 부재에 따라 다른데 대개 다음과 같다. 1) 노체는 마무리 두께 30cm 이하, 2) 노상은 마무리 두께 20cm 이하, 3) 하층 노반은 마무리 두께 20cm 이하, 4) 상층 노반은 마무리 두께 15cm 이하, 5) 석회(시멘트)의 안정처리는 마무리 두께 10∼30cm, 6) 머캐덤 공법은 마무리 두께를 4∼8cm로 한다.
- 살포 두께 (撒布-) spreading depth
- 불도저 등으로 흙을 거의 평평한 층으로 깔아 넓혀 다지는 경우의 1층의 두께. 시공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0 ~ 50m로서 다짐 두께는 20 ~ 30cm 정도로 한다.
- 삼각 구분법 (三角區分法) triangle division method
- 면적을 구하고자 하는 지역을 3각형으로 구분하고, 각 3각형의 변 길이를 실측하여 헤론의 공식에 의해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 - Heron's formula
- 삼각 둑 (三角-) triangular weir
- 유량 측정용 둑 중 통수 단면이 도립(倒立) 3각형인 것. 유량은 대략 월류 수심의 5/2승에 비례하기 때문에 4각 둑에 비해 유량이 작을 때도 정밀도가 좋다는 점이 장점이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