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528/1424)
- 사투영 (斜投影), 사투영도 (斜投影圖) oblique projection
- 투영선이 화면에 사교(斜交)하는 투영 또는 투영도. 캐비닛법. 카발리에법. 밀리터리법이 있으며, 어느 것이나 화면에 대하여 평행을 유지하는 면을 실제 길이와 실제 모양을 나타내고, 프리 핸드 스케치나 간단한 설명도 등에 이용된다.
- 사하중
- 구조수명간 상시 작용하는 하중으로서 거더, 슬래브, 기둥, 벽, 지붕, 천장, 계단, 난간, 수도관, 기타 부속 시설물의 무게 및 고정된 사용장비 등을 포함한다.
- 사하중 (死荷重) permanent load
- dead load, fixed load
- 사하중 (死荷重) dead load
- 교량 자체의 중량에 의한 하중으로, 일정 불변이며 이동이 없고 항상 만재되어 있는 것. 사하중은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단위 중량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철도교에서는 부재 응력중에서 사하중이 차지하는 비중이 비교적 작으나 도로교에서는 부재 응력중 사하중 응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사하중의 산출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또 각종 재료의 단위 하중은 각 시방서 등에 규정되어 있다.
- 사후(事後)가스
- 발파에 의해서 다량의 가스가 발생한다. 이것은 거의 해는 없으나 동시에 발생하는 적은 양의 NO, NO2, CO 등은 해롭다. 습기를 흡수했거나, 덩이가 된 폭약을 사용한 경우, 장약의 양이 적정하지 못한 경우, 채움이 불충분한 경우 등은 폭약이 불완전한 폭발을 해서 유독 가스의 발생량이 현저히 증가한다.
- 사후보전 (事後保全) bradkdown maintenance
- 기기가 고장정지나 기능 저하되고부터 수리나 교환을 하는 것.
- 삭도 (索道) ropeway
- 공중에 로프를 가설하고 여기에 운반 기구(차량)를 걸어 동력 또는 운반 기구의 자체 무게를 이용하여 운전하는 것. 일반적으로 운반 기구를 지탱하는 지색(支索)과 운반 기구를 운반하는 예색(曳索)을 사용하며, 운전 방식에 따라 두레박식과 순환식이 있다. 전자는 예색의 양단에 운반 기구를 부착하여 교대로 상하 왕복시키는 방식이고, 후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운반 기구를 송출하는 방식이다. 로프웨이라고도 한다. aerial
- 삭도 (索道). 케이블 기중기 (-起重機) cableway
- (1) 가공 삭조에 의하여 재료를 운반하는 장치. (2) - cable crane
- 삭망평균만조면
- 조석은 주로 지구와 달리 태양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의해 결정되어 한달의 조차변화는 새달 초 및 망월(보름)의 1∼3일 후에 최대가 되는데 이것을 대조라 한다. 삭(초하루) 및 망(보름)의 날에서 5일 이내에 나타나는 각 달의 최고만조위를 평균한 높이를 말하고 H.W.L로 표시하며 삭 및 망이 날에서 동일 시간에 나타나는 각 달의 최고우조위를 평균한 높이를 삭망평균우조면이라 하고 L.W.L로 나타낸다.
- 산각고정댐
- 하상을 상승시켜 산각을 고정한 다음 산허리의 붕괴 등의 예방 및 확대의 방지를 도모하여 토사의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각고정댐의 위치는 보전을 대상하는 산허리의 바로 하류부를 원칙으로 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