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526/1424)
- 사진 중심 (寫眞中心) center of photograph
- 사진의 4변에 있는 지표를 이은 선의 만난점. 조정이 정확한 카메라에서는 주점과 일치한다. - principle point
- 사진 지도 (寫眞地圖) photographic map
- 도면을 마이크로 사진용 필름으로 촬영하고 그것을 확대하여 작성한 사진 도면. 항공 사진을 그대로 청사진으로 표현한 것도 사진 지도라 한다.
- 사진 측량 (寫眞測量) photogrammetry
- 사진을 사용하여 피사체의 크기나 성질 등의 측정이나 조사를 하는 기술. 현재는 일반적인 사진 측량에 항공 사진이 사용된다. 또한 동일 지역을 중복하여 찍은 1쌍의 사진을 사용한 실체 사진 측량은 지형을 3차원으로 측정한다고나 판독하는 경우에 이용되고 있다.
- 사진상의 편위 (寫眞上 -偏位) partiality of photographic
- 사진 측량에서 카메라의 기울어짐이나 토지의 기복에 의해 생기는 사진상 위치의 어긋남(편위). 카메라 경사에 의한 사진상의 편위량 dℓ은, dℓ ℓ2 sinθ cos ψ / f
- 사진측량(photogrammetry)
- 사진측량은 사진을 이용해서 지형이나 지물을 촬영하여 그 기록을 기본으로 지도상에 나타내는 방법이다. 공중사진측량과 지상사진측량이 있다. 사진측량은 사진기으 렌즈의 광심을 투영 중심으로 해서 중심 투영상만 얻을 수밖에 없으므로 이것을 정사투영상으로 고치기 위해 정밀한 기계에 의해서 변형을 수정하는데 많은 비용이 든다.
- 사질 점토 (砂質粘土) sandy clay
- 세립분(細粒分)이 50% 이상으로 모래 성분이 드드러지게 포함되는 찰흙, 또는 3각 좌표로 분류되는 사질 점토의 범위에 해당하는 흙을 말한다.
- 사질 점토층 (砂質粘土層) sandy clay stratum
- 모래가 섞여 있는 점토층.
- 사질토 (砂質土), 모래 지반 (-地盤) sandy soil
- (1) 지반을 대별하여 사질토와 점성토로 나누었을 때의 용어. 흙의 물리적 성질로 판정한다. 일반적으로 찰흙. 실트분이 15% 이하, 흙입자의 함수비 20% 이하, 소성 지수 Ip가 7 ~ 10% 이하 등의 흙을 사질토라 한다. (2) 흙입자의 분류에서는 입경 2.4mm ~ 74u까지의 것을 모래라 한다. 지반을 구성하는 흙의 대부분이 이 범위인 것을 모래 지반이라 한다.
- 사춤 모르타르 filling mortar
- 돌붙임을 할 때 돌과 바탕 뼈대 사이에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것. grouting
- 사취 (砂嘴) sand spit
- 해안에 접한 하구, 강 입구의 해안을 따라 표사(漂砂)의 위쪽으로부터 입구를 닫는 쪽으로 가늘고 긴 제방 모양의 모래가 퇴적하여 돌출한 지형. 사취는 하구에서 해안과 평행한 방향의 표사를 밀어 붙일 만한 흐름이 없는 곳에 생긴다. 일단 모래톱이 형성되기 시작하면 파도의 회절에 의해 그 뒤쪽에 풍파가 없는 장소가 생기고 그곳에 모래의 퇴적이 일어나며 사취의 형성이 한층 더 조장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