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490/1424)
- 불꽃 용접 (-鎔接) flash welding
- 전기 저항 용접의 일종으로, 2개의 부재를 약간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하고 전압을 가한 상태에서 서서히 접근하면서 플래시를 날리며 전면을 가열한 후 급속히 가압하여 용접하는 방법. 다른 용접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재질의 변화도 적다.
- 불꽃 조정 (-調整) flame adjustment
- 산소 아세틸렌 불꽃에서 그 혼합비를 조정하여 불꽃의 성질을 바꾸는 것. 가스 용접에서는 표준 불꽃, 가스 압점에서는 환원불꽃을 쓰는 경우가 많다.
- 불꽃 홈파기 flame gouging
- 연료 가스와 산소를 써서 강재 등의 표면에 가는 홈을 파는 것.
- 불도저 bulldozer
- 트랙터의 앞면에 토공판을 장착한 토공 기계. 토공판의 상하 작용은 와이어 로프 또는 유압으로 하게 된다. 토사의 굴착, 단거리 운반, 땅고르기, 정지(整地), 다지기, 벌개(伐開: clearing), 압토(押土), 제설, 슈트에 의한 싣기 등에 사용된다. 토공판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스트레이트 도저, 좌우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틸트 도저라 한다. 트랙터의 형식에 따라 타이어 장치가 있는 것을 타이어식, 무한 궤도의 것을 크롤러식
- 불도저 셔블 bulldozer shovel
- tractor shovel
- 불림 normalizing
- 결정 조직이 큰 것, 또는 변형이 있는 것을 상태화(常態化)하기 위한 목적으로 처리하는 조작. 보통 강을 오스테나이트 범위로 가열하고 서서히 공기 속에서 방랭(放冷)한다.
- 불발경우의 조치
- 점화한 후에 화약류가 폭발하지 않을 때 또는 확인이 곤란한 경우에는 1) 전기뇌관에 의할 때는 재점화하지 않도록 해서 5분이상 경과한 후가 아니면 접근해서는 안된다. 2) 도화선 발파에 의할 때는 점화한 후 15분 이상이 경과한 후가 아니면 접근 않는다.
- 불소 수지(弗素樹脂) fluorocarbon resin
- 불소 원자를 포함한 수지의 총칭으로 내후성 고분자의 하나. 내약품성, 내열성이 뛰어나고, 마찰 계수도 최소이며, 외장재나 내후 도료로의 이용이 진행되고 있다. 테프론
- 불안정 (不安定) instability
- 구조물이 하중에 대한 정항이 없는 상태에서 작은 하중으로 크게 변위가 진행해 버리는 상태.
- 불안정 (不安定) unstability
- 외력이나 강제 변위를 받으면 구조물이 그 평형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는 것.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