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건설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4236건 (472/1424)

부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部分-) partially prestressed concrete
부분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한 콘크리트 구조.
부분 프리스트레싱 (部分-) partial prestressing
설계 하중에 의해 생기는 인장 방향의 응력도가 유효 프리스트레스보다도 크면 콘크리트에 인장 응력도가 발생하는데, 이 인장 응력도를 허용하는 설계 방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 - full prestressing
부분 합성 거더 (部分合成-) partially composit beam (girder)
continuous composite beam (girder)
부분도 (部分圖) partial view
전체 중 일부분을 표시하는 그림.
부사재 (副斜材) sub-diagonal
트러스 등의 경사재를 그 중간점에서 고정함으로써 기둥의 길이를 감소할[세장비(細長比)를 작게 한다] 목적으로 2차적으로 설치하는 경사재. 일반적으로 무응력이 되도록 배치한다.
부석 (浮石) floating rock
본바닥의 굴착면에서 절리. 시임 등에 의하여 암반과의 접촉이 태반은 단절되고, 자연적으로 혹은 가벼운 충격 등에 의하여 쉽게 본바닥에서 떨어지려고 하는 암석 괴편. 터널. 굴착면 등에서 전락하든가 구조물 기초로서 지지력 이외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
부석 포장 (敷石鋪裝) stone-pavement
석괴 포장의 일종. 보통 벽돌형의 석괴를 시멘트 콘크리트의 기초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쿠션으로 하여 깔고 줄눈을 모르타르로 채운다. block pavement
부석(浮石) pumic-stone
굴착 또는 발파 등이 이루어진 막장에 균열이 들어가 이탈하기 쉬운 암석. 자갈 속에 포함된 경석과 같은 불량 골재를 말하는 경우도 있다.
부선식 가설 (浮船式架設) deckbarge erection
가교 부근의 육상에서 전부 조립된 교량을 하천 내의 폰툰(pontoon)으로 지지하고 이동하여 가설하는 방법으로, 다음 두 가지가 있다. 즉 교량 거더 전체를 폰툰으로 지지하여 이동하는 방법과 교량 거더의 한쪽 끝을 육상 또는 교상(橋上)에 지지하고 다른 쪽 끝을 폰툰으로 지지하여 당겨내는 방법이다. 또한 지지되어 있는 교량 거더를 상하로 움직이는 데 조수간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배에 물, 밸러스트(ballast) 를 이용하는 경우 및 잭에 의한 경우
부선식 가설 (艀船式架設) floating erection
항만부나 대하천의 하구부 등에서 대선(臺船)에 의해 거더를 가설하는 공법, 지상에서 가조립한 교량 거더를 플로팅 크레인선으로 배달아 올려 가설하는 플로팅 크레인 공법과 대선상에 벤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교량 거더를 가조립한 후, 예인(曳引)하여 가설하는 대선 공법이 있다. 어느 경우나 선박에 의해 중량물을 지지하여 가설 작업을 하기 때문에 적당한 수심이 있고 흐름이 완만해야 된다. 또한 대선 공법에서는 거더 밑 높이도 비교적 낮게 제한된다. 능력이

자료관리 담당부서

공정안전팀
051-888-6051
최근 업데이트
2024-02-20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