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43/1424)
- 강판 널말뚝 繫船岸의의 施工順序
- 1) 岸壁의 강판 널말뚝의 타설, 앵커(anchor)판의 말뚝박기 2) 앵커판의 콘크리트 공사 3) 앵커판과 강판 널말뚝을 연결하는 스테이(stay) 공사, 도중에 받침말뚝 등의 타설 4) 강판 널말뚝의 뒷면에 둥근 돌을 쌓아 뒷 메우기 5) 앞면을 규정된 깊이로 준설한다. 6) 뒷면을 매립한다. 7) 앞면을 콘크리트로 타설, 규정한 높이까지 매립 8) 繫船柱나 정차할 곳을 설치 9) 포장공의 시공 10) 防舷材를 시공 11) 전기방식
- 강판 널말뚝 박기
- 방법을 크게 나누어서 비계 박기 방법과 직접 박기 방법이 있다. 앞의 것은 1) 뭍에서 박기 2) 바다에서 박기 3) 비계 박기가 있고, 박는 방법에는 1) 드롭해머 2) 스티임해머 3) 에어해머 4) 디지젤해머 5) 바이브로 해머의 구별이 있다. 비계는 시공 현장이 물이냐 바다냐 말둑박는 잔교는 무엇인가 등으로 결정되고, 타격법은 말뚝길이, 시공속도, 시공규모, 비계의 방법 등으로 정해진다.
- 강판 널말뚝(steel sheet pile)
- 강판 널말뚝은 널말뚝의 양단에 있는 갈퀴 때문에 서로의 접속이 좋고 물막이성에도 뛰어나다. U형, Z형, H형, 직선형, 강관형 등의 타입이 있다.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것은 물막이 성능이 좋은 U형이다.
- 강판 널말뚝의 斷面係數
- 어느 단면의 宜心을 통하는 축 x에 대한 단면 2차 모우먼트 I를 축에서 단면 상하의 거리 y1, y2,로 나눈 값(z1I/y1, z2I/y2)을 그 축에 대한 단면계수라 한다. 단위는 cm3로 나타내며 단면 2차 모우먼트(I)와는 어느 단면 A의 각 부에 대한 면적요소 dA에 있는 축 x에서의 거리 y
- 강판 널말뚝의 머리부의 변형
- 강판 널말뚝은 그 머리부를 타격시켜 땅 속에 박기 위해서 간혹 머리부는 변형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으로 구성된 완충재가 들어 있는 강제의 冶貝를 머리에 씨워 타설한다. 일반적인 변형은 타격회수, 타격의 어려움에 비례하며, 방법은 드롭 해머가 크고 바이브로는 적다.
- 강풍 (强風) strong wind
- 대기의 흐름이 온도에 의한 상승 기류, 하강 기류의 영향이 적은 상태에서 평균 풍속이 지상 10m에서 10m/s 정도 이상의 바람을 말한다. 내풍 설계의 대상이 되는 바람.
- 강행 공사 (强行工事) rush work
- 경제 속도에 의한 공사의 기성고에는 한도가 있으며, 기성고를 높이면 원가가 급격히 증가한다. 이 상태의 공사를 강행 공사라 한다. 원가가 급증하는 원인은 시공량에 비례하지 않는 자재나 기재의 사용, 고가 재료의 구입, 또는 1교대에서 2교대. 3교대로 바뀜에 따른 인건비 증가 등이다.
- 강현 콘크리트 (鋼弦-) string wire concrete
- piano wire concete
- 강화목 (强化木) compressed laminated wood
- 단판(單板)을 수지류의 용액에 담가 겹쳐 쌓고, 가압. 가열한 것. 너도밤나무나 자작나무 등을 쓰며, 수지류에는 페놀 수지 등을 사용한다. 강도는 금속과 목재의 중간이며, 흡습성이 적고, 내약성(耐藥性)도 크다. compreg
- 개간 (開墾) land reclamation
- 산림, 들판 등의 개간되지 않은 땅에서 논, 밭, 과수원 등지의 농경지를 만드는 것.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