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426/1424)
- 배수제 (背水堤) backwater levee
- backwater reach
- 배수조 (排水槽) sump
- 용수(湧水)를 배수하기 위해 터파기 바닥에 설치하는 얕은 우물.
- 배수조 (排水槽), 배수받이 (排水-) catch-basin
- 지표를 흐르는 빗물이나 가정 배수 등을 받아 넣어, 배수구나 배수관에 접속시키기 위해 만든 홈통.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배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 등은 여기서 침전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 청소를 한다. 도로에서 이용하고 있는 배수조는 노면의 표면수가 유입하는 입구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구(側構) 홈통과 연석(緣石) 홈통이 있다.
- 배수지
- 정수시설로는 하루 사이에 대체로 일정한 속도로 정수되고 있으나 수요측에서는 시간적으로 물의 소비는 일정하지 않다. 이 사이의 불균형을 조절하는 시설이다. 배수구역의 중심에 가까운 높은 곳에 설치한다.
- 배수지 (配水池) distributing rservoir
- 사용 수량의 시간적 변화에 따르기 위하여 사용 수량이 적은 시간에 정수를 모아 두어 피크시에 원활한 급수를 하도록 급수량의 조절을 하는 연못. 유효 수심 3 ~ 6m, 유효 용량을 계획 1일 최대 급수량의 8 ~ 12시간분을 표준으로 하고 배수지에는 잔디 등으로 표면을 덮어 배수지 내의 온도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 배수지 (配水池) water distribution reservoir
- 상수도 시설의 일부. 시간적으로 일정하지 않은 수도 수요와 일정한 운전을 하고 있는 정수 시설이서의 정수량과의 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해 상수를 일시 저류하는 시설.
- 배수처리(배수공사)
- 집중적으로 용수가 있을 경우는 배수공사를 한다. 측벽 하부에 설치하는 수발관은 용수의 유무에 불구하고 일정한 간격(약 5m) 마다 넣는다.
- 배수탑
- 배수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소규모의 수도나 배수구역이 적은 곳이나 배수지를 만들 정도의 넓은 토지가 없는 경우에 설치한다. 위치나 높이와 구조 등은 한결같이 배수지에 준한다.
- 배수탑 (配水塔), 저수탑 (貯水塔) water-tower
- 수도 사용량의 시간적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처리한 수돗물을 일단 저류(貯留)해 두는 못.
- 배수통 (排水桶) catch basin drainage basin
- 옥외 배수관의 기점이나 집합 개소, 굴절 개소에 설치하는 고임통.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