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37/1424)
- 강상판 포장 (鋼床板鋪裝) steel deck surfacing
- 일반적으로 하층에 구스 아스팔트 포장, 상층에는 개질 아스팔트 포장을 쓰고, 포장 두께는 6 ~ 8cm로 구성된다. 고무가 든 아스팔트 유제 등에 의한 접착층을 둘 필요가 있다. 또, 상판상에 물이 괴지 않도록 포설 전에 배수 설비의 확인이 필요하다. - improved asphalt, cleaning, Gussasphalt pavement
- 강선1) (鋼線), 철선2) (鐵線) steel wire
- (1) 강제의 선재. 연강 혹은 경강을 선 모양으로 가공해서 만든다. 비계 등의 긴결, 가선(架線), 용접 쇠그물, PC 강재 등에 사용한다. (2) 연강재를 신선(伸線)한 것. 보통 철선, 풀림 철선, 아연 도금 철선, 못용 철선의 종류가 있으며, 보통 철사, 못 등으로 사용한다.
- 강섬유 (鋼纖維) steel fiber
- 섬유 보강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등에 쓰이는 강단 섬유(鋼短纖維)의 재료. 균열 구속성, 내충격성, 인성(靭性) 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쓰인다. 혼입률 1.0 ~ 2.0%가 많다.
-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포장 (鋼纖維補强-鋪裝)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 강섬유 혼입으로 휨 강도나 내마모성을 강화한 콘크리트 포장. 균열에 대한 구속력이 크며, 박층 콘크리트 포장에 적용 예가 많다.
- 강섬유 콘크리트 (鋼纖維-)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 길이 20 ~30mm, 직경 0.5mm 정도의 강섬유를 균등하게 분산 혼입한 콘크리트. 강도가 크고, 에너지 흡수 능력이 크다.
- 강섬유보강콘크리트
- 강섬유를 혼입시킴으로서 주로 인성이나 내마모성 등을 높인 콘크리트
- 강성 (剛性) rigidity
- (1) 재료의 휨이나 비틀림에 대하여 저항하는 능력을 강성이라 한다. (2) 구조물 뚜는 그것을 구성하는 부재는 하중을 받으면 변형하는데 이 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 즉 변형의 정도를 말한다. 축방향력만을 받는 부재에서는 영 계수 E와 단면적 A의 곱 EA, 휨을 받는 부재에서는 영 계수가 E와 단면 2차 모멘트 I의 곱 EI, 전단을 받는 부재에서는 전단 탄성 계수 G와 단면적 A의 곱 GA에 비례한다. stiffness
- 강성 매트릭스 (剛性-) stiffness matrix
- 변위법에서 힘과 변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F} [K] {δ} + {C} 의 [K]에 해당한다. 유성(柔性) 매트릭스의 역 매트릭스가 된다.
- 강성 저하율 (剛性低下率) rigidity degrading ratio
-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탄소성 복원력 특성에서 소성 변형의 증가로 겉보기의 강성이 초기의 탄성 강성에 대해 저하하고 있는 비율. stiffness drop ratio
- 강성 포장 (剛性鋪裝) rigid pavement
-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처럼 신축성이 적고 강성이 큰 포장.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이 쉽고 시멘트의 경화시에 수축하여 균열이 생기기 쉽다. 2주 정도의 양생 기간이 필요하다. 휨에 대해 저항력이 크며, 보수가 곤란하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