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건설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4236건 (369/1424)

모세관 상승고 (毛細管上昇高) capillary rise (height)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물이 흙 속의 간극을 상승할 수 있는 한계의 높이. 흙의 간극은 연속해 있으나 복잡한 망상(網狀)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모세관 상승고는 실험식으로 구한다. - capillary pressure
모세관 압력 (毛細管壓力) capillary pressure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빨려 올라온 물은 표면 장력에 의하여 주위의 흙입자를 서로 끌어당기는 작용을 한다. 이 때 흙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을 말한다.
모세관 현상 (毛細管現象) capillarity
모세관을 액 내에 세우면 관을 적시는 액의 경우 관 내에 액이 상승하며, 적시지 않는 경우 액면은 하강한다. 이 현상은 표면 장력으로 인해 일어나며 이것을 모세관 현상이라 한다. 관의 직경을 d, 접촉각을 ρ, 표면 장력을 T라 하면 모세관 상승 높이 h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h 2Tcosθ/dρg 콘크리트나 흙에서는 공극이나 간극이 모세관의 역할을 하며, 많은 수의 불규칙한 모세관이 존재한다. 흙에서는 상승 높이 h가 다음의 식으로
모세관수 (毛細管水) capillary water
재료 내의 작은 구멍 속에 포함되는 물.
모어. 쿨롬의 파괴 기준(-破壞基準) Mohr-Coulomb's failure criterion
상이한 응력 조건하에서 행하여진 3축 압축 시험으로 얻어진 파괴시의 응력원군의 포락선은 전단 파괴시의 σ와 τ의 관계를 나타내어, 모어의 파괴 기준이라 하는데, 특히 이 포락선이 직선일 때 쿨롬의 마찰 법칙과 일치하기 때문에 모어.쿨롬의 파괴 기준이라 한다.
모어. 쿨롬의 파괴 기준(-破壞基準) Mohr-Coulomb's standard of fracture
흙의 전단 강도를 주는 식. 모어의 응력원의 포락선으로 주어진다. sc+σtanψ 여기서, s : 흙의 전단 강도, σ : 수직 응력, c : 점착력, ψ : 내부 마찰각.
모어의 응력원(-應力圓) Mohr's stress circle
평면 응력 상태에서의 수직 응력도 및 전단 응력도에서 주응력도와 그 방향 및 주응력도와 임의의 각을 이루는 방향의 단면상 응력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 Mohr's circle
모어의 정리(-定理) Mohr's theorem
정정(整定) 보의 변형(휨각 및 휨)을 구하는 정기의 하나
모어의 포락선(-包絡線) Mohr's envelope
전단 파괴력을 보여주는 원의 포락선. 흙의 공시체를 파괴시킬 때의 수직 응력 σ1과 측압 σ3의 관계를 몇 개 구하여 복수 개의 모어 응력원을 그린 후 각 원에 공통인 접선. 직선의 기울기가 흙의 내부 마찰각을 의미하며, 세로축을 자르는 길이가 점착력을 가리킨다.
모울딩(molding)
콘크리트부재의 각은 망그러지기 쉬우므로 단면 3각형의 조각을 성형의 구석부에 넣어 콘크리트의 모난 부분을 베는 것을 모울딩이라 한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공정안전팀
051-888-6051
최근 업데이트
2024-02-20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