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건설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4236건 (30/1424)

감쇠 상수(減衰常數) damping coefficient
구조물이나 지반은 재료 내부에서의 마찰이나 변형 이력 등이 원인으로 동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진동이 감소해가는 성질을 갖는다. 이 감쇠량의 크기를 규정하는 상수. 그 값은 지반의 동적 해석에 쓰인다.
감쇠 시상수 (減衰時常數) attenuation time constant
손실이 있는 계(系)에서 에너지 감소의 속도를 나타내는 수치. 감쇠가 Ae (A : 상수, t : 시간)의 모양으로 나타내어질 때의 1/k를 말한다. - damped vibration, damped oscillation
감쇠 여과법 (減衰濾過法) declining rate filtration
급속사(急速砂) 여과의 변법 중 하나.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여과시킬 때 여과층의 막힘에 의해 여과 저항이 증가하여 여과 속도가 감소하지만 여과 속도의 조정을 하지 않고 그대로 여과를 계속 하는 방법. 유량 조절기가 불필요하며 여과된 수질도 양호하지만 수량을 확보하는 데에 문제가 있다.
감쇠 진동 (減衰振動) damped vibration
물체에 복원력(평형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힘)과 감쇠력이 작용하여 진동하고 있는 상태를 감쇠 진동이라 하며, 진폭은 시간과 더불어 작아져 간다. 감쇠력은 속도에 비례하는 점성 저항 등이 일반적이다.
감수제
시멘트의 입자를 분산시키므로서 콘크리트에 소요되는 워커빌리티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단위 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혼합제를 말한다. 감수제로서는 각종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토목학회의 감수제규격에 합격한 것이라야 한다.
감수제
혼화제의 일종으로, 시멘트의 분말을 분산시켜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얻기에 필요한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 재료
감수제 (減水劑) plasticizer
콘크리트 혼합제의 일종. 콘크리트의 소정의 워커빌리티를 얻는 데 필요한 단위 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AE제가 부속되어 있다. 감수제의 사용에 따라 이것을 쓰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하여 단위 수량을 10 ~ 2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감수 효과는 시멘트 입자의 분산 작용 결과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시맨트 분산제라고도 한다.
감수제 (減水劑) water reducing agent
콘크리트 혼합제의 일종. 비비는 동안에 시멘트 입자를 대전시켜 각 입자를 분산시키는 표면 활성제로, 유효 수화 면적의 증가, 수량의 감소, 워커빌리티의 개선, 내수성의 개선 등이 효과가 있다. 고강도화. 유동화를 목적으로 한 고성능 감수제도 있다. - admixture
감아올리는 장치의 엇갈림
감아올리는 장치의 동체는 와이어 로프가 순서있게 감도록 되어 있으나 감아올리는 속도가 급변해서 감아올린 로프가 뒤섞여져 겹칠때가 있다. 이것을 엇갈림이라 한다. 엇갈림이 되었을 때는 와이어 로프에 하중을 작용해서는 안된다.
감압 우물 (減壓-) relief well
댐이나 하천 제방을 두꺼운 투수성 지반 위에 축조하는 경우, 투수성 토층 속으로 침투에 의해 댐 본체 하류의 꼬리 부근에 높은 간극압이 발생하여 댐 본체의 안정에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침투수를 안전하게 제방밖으로 흘러나가게 하기 위해 꼬리 부근에 만드는 중력 샘을 말한다. 같은 목적으로 드레인, 블랭킷, 지수벽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지표면을 덮고 있는 불투수층이 두꺼운 경우나 층상을 이루고 있는 지반에서는 이 공법이 유효하다. 감압 우물

자료관리 담당부서

공정안전팀
051-888-6051
최근 업데이트
2024-02-20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