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용어
총 14236건 (273/1424)
- 동결 시험(凍結試驗) freezing test
- 동결시의 히빙(heaving)의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 도로 포장의 노상재에 대하여 실시되는 시험.
- 동결 심도 (凍結深度) frost penetration depth
- 지반면에서 지하 동결선까지의 깊이를 말한다.
- 동결 온도 (凍結溫度) freezing temperature
- 액체가 동결하기 시작할 때의 온도. 동결점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물의 동결 온도 0도가 알려져 있다.
- 동결 융해 시험 (凍結融解試驗) freezing and thawing test
- 석재, 굵은 골재, 콘크리트, 모르타르, 기와, 벽돌, 타일 등의 안정성, 내구성 또는 내해성을 판정하는 시험법. 시험하고자 하는 물체를 흡수시켜 빙점 하에 냉각 동결시키고, 이어서 상온으로 되돌려 융해시키는 조작을 반복하여 이상을 나타내기에 이르는 사이클수로 판정한다.
- 동결 융해(凍結融解) freezing and thawing
- 지반 등의 간극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외기온도의 변화와 더불어 동결과 융해를 반복하는 것. 이 작용에 의해 기암(基岩) 등이 서서히 파괴된다.
- 동결 지수 (凍結指數) freezing index
- 0℃ 이하의 기온과 일수이 곱을 연간을 통해서 누계한 값. 이 지수는 적설 한랭 지역에 있어서의 포장의 설계에서 동결 깊이의 계산에 사용한다.
- 동결공법
- 땅안의 물을 동결시켜 솟는 물을 그치게 해서 토양의 강도를 증가시킨 다음에 굴착하는 공법인데 동결된 흙의 강도마져 기대된다. 굴착에 앞서서 원지반 안에 동결관을 설치하여 냉각액을 순환시켜서 동결한다. 지하 수위가 높은 연약지반이나 하천 아래 등을 팔 때 쓰인다. 순환방식의 브라인방식과 저온액화 가스방식이 있다.
- 동결공법
- 지하에 구조물을 만들 때 지반강화와 지수를 도모하기 위해서 지반을 동결시키는 공법이다. 더없이 높은 강도(-15℃으로 30kg/cm2∼200kg/cm2 정도)를 얻기 위한 신빙성이 높은 공법이기는 하나 반면에 코스트가 높고, 지하의 수류가 빠른 경우에는 동결이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있다. 동결방법에는 브라인(brine) 순환식과 액체질소의 기화방식이 있다.
- 동결법 (凍結法) freezing process
- 냉매를 불어 넣어, 해수를 그 빙점(약 -1.7。)까지 냉각하면 얼음 결정이 석출된다. 이 얼음을 분리 세정한 후 융해시켜 담수로 만드는 방법. 저온 조작이며, 재질의 부식이 적기 때문에 장치에 저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 동공 거리 (瞳孔距離) inter pupillary distance
- 양쪽 눈의 동공 중심을 잇는 선의 거리. 사람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개 65mm이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공정안전팀
- 051-888-6051
- 최근 업데이트
- 2024-02-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